그러나 초기 방역대책에 실패해 AI의 무차별 확산을 막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최후 대책'인 백신 접종에 대한 매뉴얼조차 없는 것으로 확인돼 비난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완제품으로 만든 AI 백신이 없고, 백신을 개발해 사용해도 최소 4개월 이상의 시간이 필요해 현재 사태를 막는데 속수무책으로 알려졌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향후 H5N6형 재발을 대비해 즉각 백신을 제조할 수 있는 '항원뱅크'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검역본부는 그간 고병원성 AI 백신개발 '종독주(시드뱅크·Seed Bank)' 구축차원에서 준비해 왔다고 설명했다. 종독주란 국가연구기관 차원에서 다양한 백신 후보주를 선발하고 이들의 기본적인 방어능에 대한 평가를 하는 백신 후보주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검역본부는 H5N1, H5N8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후보주를 구축한 상태이며 H5N6형 백신 후보주는 개발 중에 있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백신 완제품을 만들 수 있는 '항원뱅크'도 만든다. 항원 뱅크가 구축되면 접종 결정이 날 경우 2주 만에 백신 제조가 가능하다. 비용은 마리당 60원 정도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번 겨울에는 백신 접종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 박봉균 검역본부장은 "H5N6형은 이번에 유입돼 백신 접종이 결정되도 최소 3개월의 시간이 걸린다"며 "당장 접종 준비를 해도 4월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상 농림축산식품부 방역관리과장도 "백신 관련 내용을 내부적으로 논의는 했지만, 접종 여부에 대해 어떤 타이밍에서 시행할지 여부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과 교수는 "반복적으로 AI를 겪게 되면 나아지는 측면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상황을 보면 오히려 나빠지고 있다"며 "부실한 대응이 이번 사태를 키웠고,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방역망이 철저히 관리가 안돼 전반적인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