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 빨라져…전년 대비 8%↑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22 07: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역별 해수면 상승 현황 [사진제공 = 해양수산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가 지난해보다 다소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국가해양관측망의 해수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연안에서의 평균 해수면 상승률이 전년 대비 약 8% 증가해 상승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은 18개 조위관측소에서 장기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까지의 해수면 변동률을 산정해 2009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올해 산정한 해수면 평균 상승률은 2.68mm/yr로 전년 2.48mm/yr에 비해 소폭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해역별 상승률은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에서 각각 3.35, 3.02, 1.06mm/yr로 나타났으며, 서해안에서는 해수면 상승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동해안과 남해안의 상승률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올해 발표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은 IPCC(2013)가 발표한 전 세계 평균값 2.0mm/yr보다 다소 높으며, 지역별로 상승률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가장 상승률이 높은 지역은 포항 인근 해역으로 5.98mm/yr이며, 뒤를 이어 38년간 약 21㎝의 평균 해수면 상승을 보인 제주 인근 해역이 5.63mm/yr로 나타났다.

한편, 해양조사원은 이 중 제주 인근 해역(평균 4.56mm/yr)에 대해 해수면 상승 요인을 전 지구적 요인과 국지적 요인으로 분리해 파악하고 그 원인의 일부를 규명했다.

이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빙하의 해빙과 해수온 상승에 따른 열팽창 등 전 지구적인 요인 외에도 국지적 해류 변동과 관련된 해수의 열팽창 효과가 제주 해역의 빠른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수직 변위 관측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적 지반침하에 따른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류재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우리 원에서 생산하는 장기 관측 자료와 과학적 연구 성과가 앞으로 국가 정책 수립과 학술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