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분기에 브렉시트의 진행 방향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 등이 구체화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금융상황 대응회의를 열고 "최근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지는 않지만,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산재해 있는 만큼 금융권 전체가 긴장의 끈을 놓치 않고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점검,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와 브렉시트 외에도 중국 외환시장 불안, 이탈리아 등 유럽은행 부실 등도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이날 회의에는 정 부위원장은 비롯해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각 금융협회 및 금융공공기관 등 유관기관의 부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은 "금감원은 금융시장 안정과 금융회사의 건정성 유지, 중소기업 및 취약계층 보호 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금융위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주요 휘엄요인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또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기업부실 등 구조적 리스크 요인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