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16'에 실린 전북대 문성만 교수의 '1인 청년가구의 소득과 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인 남성 청년가구 중 자영업 종사자의 비율은 12.2%였다.
이는 2006년 7.4%에서 4.8%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이 기간 1인 남성 청년가구의 경상소득 대비 근로소득 비중은 87.3%에서 75.0%로 하락했다. 여성도 74.6%에서 71.3%로 내려갔다.
반대로 사업소득이 경상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커지고 있다.
1인 남성 청년가구의 경상소득 대비 사업소득 비중은 2006년 7.8%에서 2015년 약 2.4배인 18.9%로 뛰었다. 여성 역시 10.5%에서 두배 이상인 21.9%로 급증했다.
문 교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근로소득 비중이 낮아지고 사업소득 비중이 높아진 것은 기업들의 청년고용이 감소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제조업 부진과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규채용 위축 등 영향으로 지난 11월 청년층(15∼29세) 실업률이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한 8.2%를 기록했다.
이는 동월 기준 13년 만에 최고 높은 수치다.
문 교수는 "기업들의 채용 감소가 청년창업 증가로 이어졌고, 이는 자영업 증가세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