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김재윤 기자 = 난소낭종에 대해 살펴보고 증상과 대처 방법을 알아두어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좋다.
난소낭종이란 난소에 생겨나는 낭성 종양이다. 수액 성분으로 내부가 차 있기 때문에 흔히 물혹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실제 종양 내부 수분은 종류에 따라 장액성, 점액성, 혈액이나 지방, 농양 등 다양하다.
난소낭종은 가임기 여성의 배란 과정 중에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또, 8cm를 초과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없어진다. 하지만 난소암으로 확인될 경우도 배제할 수는 없다.
▲복부 팽만과 불편감 ▲복통 ▲복부 압박 증상 ▲대소변시의 불편감 ▲소화불량 ▲경우에 따라 질 출혈 ▲드문 경우 종괴가 꼬이거나 복강 내에서 파열돼 복강 내 출혈과 급성 복통
난소낭종은 대개 수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저절로 사라진다. 이 때문에 생리적 낭종으로 판단 될 경우 일단 지켜보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관찰될 경우 크기와 형태상의 다양한 근거로 수술을 선택하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