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정부가 전 국민에게 은퇴 이전에 1회 이상의 노후준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서비스는 베이비부머 801만명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진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열린 국가노후준비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제1차(2016~2020) 노후준비 지원 5개년 기본계획'을 심의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12월 23일 '노후준비 지원법' 시행 이후 1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기본계획을 보면 국민 누구나 전국 107개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에서 은퇴하기 이전에 최소 1회 이상의 노후준비 진단과 상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연금 등의 재무뿐 아니라 건강·여가·대인관계 등 비재무 분야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우선 상담 대상은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다.
비재무 분야의 경우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 진단·상담만으론 부족한 부분은 관계기관에서 추가로 상담 등을 해준다.
기본계획은 노인들이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정년 조정과 중고령층 고용 확대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가노후준비위원회 위원장인 방문규 복지부 차관은 "국민이 길어진 노후를 안정적이고 행복하게 살 수 있게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종합적 지원체계를 마련했다"며 "노후준비서비스 강화와 관련 제도 개선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