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공정거래위원회는 2016년 백화점·TV홈쇼핑 분야 판매수수료율 조사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금까지 판매수수료 조사는 명목 금액 기준으로 이뤄졌지만 올해는 납품업체의 매출액에서 실제 수수료 지급액 비중을 고려한 실질 기준으로 진행됐다.
백화점·TV홈쇼핑의 실질수수료율은 평균 22.0%로 집계돼 명목수수료율(27.4%)보다 5.4%포인트 낮았다. 이는 정기세일 등 할인행사 과정에서 수수료율도 함께 낮아졌기 때문이다.
백화점 실질수수료율은 롯데백화점이 23.8%로 가장 높았고, 신세계(22.1%), 동아(21.0%), 갤러리아(20.9%), 현대(20.7%), NC(19.8%), AK(18.5%) 등의 순이었다.
TV홈쇼핑 역시 롯데홈쇼핑이 33.3%로 가장 높았고, CJ(33.0%), NS(32.1%), GS(28.7%), 현대(24.7%), 홈앤쇼핑(18.3%) 등이 뒤를 이었다.
상품군 별로는 셔츠·넥타이의 백화점·홈쇼핑 수수료가 각각 28.5%, 36.0%로 1위를 차지하는 등 주로 의류 품목의 수수료율이 높게 나타났다.
백화점의 경우 수수료율이 가장 낮은 상품군은 도서·음반·악기(10.3%), 홈쇼핑은 레저용품(6.5%)이었다. 대형가전, 디지털기기 등 수수료율도 낮은 모습을 보였다.
유통업체 대부분은 해외브랜드·대기업보다 국내브랜드·중소기업에 더 많은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었다.
백화점의 국내브랜드 수수료율은 23.0%로 해외브랜드(14.7%)보다 높았다. 중소기업 수수료율은 23.3%로 대기업(22.7%)보다 비쌌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해외브랜드 수수료율은 21.1%인 반면 국내브랜드 수수료율은 그보다 7%포인트나 높은 28.1%에 달해 차이가 가장 컸다.
TV홈쇼핑의 중소기업·대기업 수수료율은 각각 29.0%, 24.6%였다. 이중 롯데홈쇼핑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각각 37.9%, 30.4%의 수수료율을 책정해 가장 차이가 컸다.
이는 유통업체를 상대로 한 협상력이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국내브랜드는 해외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외 브랜드 간 수수료율 차이는 남성 정장이 9.5%포인트로 가장 컸다. 대·중소기업 간 차이는 백화점의 경우 대형가전(7.0%포인트)이, 홈쇼핑의 경우 레저용품(18.6%포인트)이 가장 컸다.
계약서상 명목수수료는 해외브랜드를 제외하고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으며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기준 백화점 납품업체의 인테리어 비용 부담액은 1년 전보다 매장당 370만원 늘어난 5070만원이었다.
홈쇼핑 납품업체의 ARS(자동응답시스템) 관련 비용 부담액은 같은 기간 440만원 늘어난 2990만원이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실질 수수료율을 조사해 상세히 공개할 것"이라며 "백화점 업계 스스로 마련한 판매수수료 인하방안 이행 여부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