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작년 11월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한 경상수지는 89억9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0월(87억2000만 달러)보다 2억7000만 달러 늘어난 수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지난 2013년 3월 이후 57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계속했다.
상품수지는 수출과 수입이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흑자 규모가 확대됐다.
작년 11월 상품수지는 105억2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98억3000만 달러) 대비 6억9000만 달러 늘었다.
수출은 464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수입은 359억4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10.6% 늘었다.
특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은 2014년 6월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품목별로 보면 기계류·정밀기기 수출액(통관기준)은 5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0.8% 늘었다. 전기·전자제품 가운데 반도체 수출은 58억300만 달러 11.5% 늘었다. 이외에 화공품은 18.2%, 철강제품은 12.3% 각각 증가했다.
박종열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파업, 태풍 등 자동차 생산의 차질 요인이 일단락됐다"며 "또 화공품, 반도체의 글로벌 시장이 호조를 보였고 철강제품 단가가 회복하며 수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수입 증가율은 2012년 2월(33.5%) 이후 4년 9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와 관련해 박 부장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유 수입 금액이 늘었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수입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경상수지 구조가 그동안 지적된 '불황형 흑자'에서 벗어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는 17억4000만 달러로 지난 10월(-15억9000만 달러)보다 확대됐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는 적자 규모가 작년 10월 5억 달러에서 11월 7억5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운송수지는 해운업계 업황 부진 영향으로 10월 1억5000만 달러 흑자에서 11월 1억5000만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는 3억1000만 달러 적자로 전월(-5억1000만 달러) 대비 적자 규모가 줄었다.
급료 및 임금, 투자소득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는 4억4000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이전소득수지는 2억3000만 달러 적자를 시현했다.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89억 달러 늘며 전월(70억4000만 달러)보다 증가액이 늘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1억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4억4000만 달러 늘었다.
주식, 채권 등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42억8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6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
특히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는 미국 금리인상을 앞두고 투자심리가 악화된 영향으로 27억1000만 달러 줄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파생금융상품은 1억 달러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외한 준비자산은 5억2000만 달러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