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06/20170106101042198910.jpg)
삼성전자 기업 로고. [사진 제공= 삼성전자]
아주경제 류태웅 기자= 삼성전자가 2016년 4분기 9조원 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시현한 것은 반도체 부문의 호조 덕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6일 삼성전자는 4분기 영업이익이 9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1400억원 대비 49.84%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9조원대에 상회한 것은 2013년 3분기 역대 최고치인 10조1600억원 이후 13분기 만이다. 갤럭시노트7 사태 여파로 5조원대 어닝쇼크를 기록한 3분기 실적도 한 분기만에 털어냈다.
매출액은 같은 기간 47조8200억원에서 53조원으로 10.83% 증가했다.
실적 효자인 반도체가 이번에도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4분기 반도체 부문에서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안팎에선 4조원대 중반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분기 3조3700억원 보다 최소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세계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50%의 비중을 차지하며 1위에 올라 있다. 여기에 48단 3D 낸드 등을 더할 경우 실적 증가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미 이 부분에서 초격차를 바탕으로 시장을 완전히 지배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반도체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의 수혜를 지속해서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승자독식의 생태계를 감안할 때 이런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3분기부터 이어진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세가 올해 1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며 "1분기 PC D램과 서버 D램 가격은 전 분기 대비 각각 30%, 20% 이상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 연구원은 "'2017 CES'를 보면 인공지능을 탑재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와 접목이 필요하고 결국 서버 D램과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용 3D 낸드 수요를 자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이유로 올해 삼성전자 실적이 역대 최대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주요 증권사는 반도체뿐 아니라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시장 환경이 좋은 데다, 이들 주요 부품의 수요 및 가격이 상승하는 빅사이클이 2018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는 불명예 퇴진한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노트7의 차기작인 갤럭시S8, 갤럭시노트8이 줄줄이 출격을 앞두고 있어 이런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최근 맥쿼리증권은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을 최대 51조원으로 예상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05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올려 잡았다.
교보증권도 올해 삼성전자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전년 대비 12.3%, 34.8% 늘어난 225조4000억원, 38조6000억원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