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가율(전체 주택수 대비 빈집 비율)이 상승하면 주택가격 하락과 역전세난, 깡통전세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양산되고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했던 건설산업도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올해 주택 수급조절에 나서는 한편 도시·지역 대책을 내놓는 등 주택시장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8일 공개한 '대한민국 2050 미래 항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택수는 2010년 1762만 가구에서 2030년 2496만 가구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2998만 가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주택보급률(가구수/주택수)은 2010년 101%에서 2050년 140%로 오른다. 2050년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147%, 경기도는 141%로 예측됐다.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2010년 353가구에서 2050년 629가구로 2배 가까이 증가한다.
빈 집 문제는 당장 올해부터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은 106만5000가구(입주 전·미분양 포함)로, 2010년보다 25만 가구 이상 증가했다. 주택 주요 수요층인 35~54세 인구는 이미 2012년부터 감소했고, 생산가능인구는 올해부터 감소할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수년간 분양시장 호황에 따른 과잉공급 물량이 올해부터 풀리면서 입주 물량 후유증도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114는 올해 36만여 가구, 2018년 41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입주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올해보다 각각 25%, 43% 늘어난 규모다. 단독·다세대주택까지 합치면 내년부터 2년간 100만 가구 넘게 입주할 것으로 추산된다.
100만 가구 빈 집에 이어 2년간 100만 가구가 신규로 공급되면서 주택시장이 '소화불량'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통상 입주물량이 증가하면 전셋값이 하락하고 급매물이 증가해 아파트값 하락으로 이어진다. 여기다 대출 규제, 금리 인상 등 변수가 추가되면 주택시장이 더욱 나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준환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급자 중심의 정책이 바뀌지 않으면 빈 집은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면서 "정부가 적극적인 공급관리에 나서는 한편 폐가정비와 도시재생, 이주정책 등 도시 및 지역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