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 전역에 대한 빈틈없고 촘촘한 환경방사선 감시를 위해 무인 감시망 추가(3개소) 설치, 탐지성능 보강(10개소), 해양방사선 감시망 신규 설치, 방사선 감시차량(1식)을 추가 확보해 운영하고 헬기를 활용한 공중환경방사선 탐지 등 정기적인 방사선 탐지활동을 강화해 매월 투명한 정보공개를 통해 방사선(능)으로부터 시민안전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학생, 공무원, 민방위대원 등에 대한 맞춤형 방사능방재교육을 확대 추진해 비상 대응능력을 배양시키고, 주민행동요령을 웹툰형식 및 생활홍보물 형태로 제작해 배부하는 등 다양한 홍보활동을 실시할 예정이다.
비상경보전파 및 갑상선방호약품 배포, 방사능방재대책본부 운영, 소개절차 등의 주민보호 특정분야 집중훈련과 광역단위 환경방사선 탐지 훈련을 통해 현장에서 대응·조치가 가능토록 행동화 숙달위주의 강화된 방재훈련을 추진한다.
아울러, 시 자체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 및 원자력시설 방호협의회 개최, 원전소재 광역시도 행정협회의 등을 통해 원전안전에 대한 자문과 주요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을 추진하고 2017년부터 시행되는 활동성단층 정밀 조사간 지역전문가 참여와, 투명한 정보공개 및 설명회 개최, 가동원전에 대한 내진설계 보강 및 스트레스테스트 시행시 지자체의 참여와 현장점검 등 지자체의 원전안전 및 방사능방재 업무에 대한 권한과 역할 확대 강화를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정부에 강력하게 요구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원전으로부터 시민이 안심하고 안전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원전안전 및 방사능방재대책을 추진하고 효율적인 주민보호체계를 확립시켜 방사능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