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차세대 ICT 산업의 핵심기술인 5세대(5G) 이동통신의 주도권을 놓고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치열한 삼국지가 전개되고 있다. 중국 이동통신 3사가 2020년까지 약 50조원을 투입해 5G 무선통신망 확충에 나서면서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넘보는 한국을 강하게 위협하고 있다. 일본도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 시기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5G 국제표준 확정이 겹치면서 상용화에 가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 중국 이통3사는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미래 먹거리 산업의 기초가 될 5G 상용화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13억 명에 이르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 모바일 대국 중국이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앞두고 5G 통신망 확충에 성공해 상용화를 선점할 경우 전 세계 통신시장에 상당한 파급력을 미칠 전망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차이나모바일은 2019년 예정된 5G 국제표준이 나오기 전인 2018년에 일부 지역에서 상용화를 시작해 2020년 전국 서비스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차이나모바일은 2019년부터 중국 100만 곳에 설치된 LTE(롱텀에볼루션) 기지국을 5G 전용으로 개량하는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일본도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에 맞춰 5G 상용화를 진행 중이다. 특히 NTT도코모는 올해 5월 도쿄 시내 일부 도심지역에 5G를 체험할 수 있는 시범서비스 구역을 설정해 LTE의 100배에 달하는 초고속통신 서비스를 선보인다.
최근에는 일본 통신시장 진출을 노리며 일본 국내에 R&D(연구개발) 거점을 두는 글로벌 통신업체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노키아는 올해 3월 도쿄에 연구원 300명 규모의 R&D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며, 화웨이도 20명 규모의 연구진이 상주하는 연구소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을 한 발짝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한국은 KT가 지금까지 5G 관련 기술 특허를 60여건 획득하는 등 경쟁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내년 개최될 평창올림픽이라는 국제적 이벤트 효과로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2015년부터 5G 본격화에 나선 KT는 국제표준 일정보다 18개월 앞서 ‘평창 5G 규격’을 마련해 기술 규격을 공개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올해 업무보고에 2020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명시해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섰다. 미래부는 업무보고에서 올해 6월까지 5G 시범서비스용 단말기를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며, 10월에는 5G 국제표준이 될 후보기술을 제안키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5G에서도 중국 굴기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5G가 LTE 위에 오는 개념이라고 봤을 때 LTE 서비스를 가장 잘하는 한국이 5G 상용화를 세계 최초로 실현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이 2020년 어느 시점에 상용화할지 밝히지 않았지만, 우리는 상반기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