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아직 구체적인 협조 요청이 없었다"며 "구체적인 일정은 반 전 총장 측의 구체적인 요청이 있게 될 경우 검토해 나간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2/20170112173208637200.jpg)
외교부의 이 같은 언급은 기존보다 다소 신중해진 모습이라는 평가다.
앞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2일 기자들에게 반 전 총장에 대한 환영행사 여부에 대해 "유엔사무총장으로서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해 기여하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한 반 전 총장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무엇인가 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 5일에는 "정부는 반 전 총장의 귀국 직후 3부 요인, 즉 대통령 권한대행, 국회의장, 대법원장 면담 주선 등 전직 사무총장 자격의 공식 일정을 지원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외교부의 태도 변화는 사실상 유력 대권주자 중 한 명인 반 전 총장에 대한 지원으로 정치적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야권도 외교부의 지원 방침에 견제구를 던져왔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9일 "무능외교가 빚은 (중국·일본의) 보복조치에 국민만 속수무책 당하고 있다"며 "이 와중에 외교당국은 할 일이 태산 같은데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귀국 환영행사를 앞장서 준비한다고 한다. 너무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한 바 있다.
조 대변인은 외교부 장관과 유엔 사무총장을 지낸 반 전 총장이 대권 도전을 시사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인 것에 대한 외교부 입장을 묻는 말에 "(언급할 것이) 없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