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5/20170115001714830961.jpg)
[사진= 한국연구재단]
우리 몸을 유지하는 세포 약 40조개 중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거나 이동, 세포 분열 등 세포생존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팀이 밝혀냈다.
15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엄수현 교수 연구팀(광주과학기술원)이 신규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인 'EFhd2'의 고해상도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작용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
'EFhd2'는 세포 가장자리 운동성 돌기 부분에 집중적으로 발현된다. 'EFhd2'가 과발현 되면 세포 이동속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암세포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X-선 결정학 기법을 이용해 우리 몸의 'EFhd2'에 칼슘이 결합된 구조와 결합하지 않은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엄수현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세포 생존 조절에 관여하는 EFhd2의 칼슘 결합 여부에 따른 액틴다발형성 조절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라며 "암세포 전이 저해를 목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 알츠하이머병, 치매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