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결정하자 재계는 기업에 대한 무차별적 수사가 진행되는 것 아니냐며 충격에 휩싸였다.
삼성이 미르ㆍK스포츠 재단에 낸 출연금 204억원이 뇌물로 간주되면서 이들 재단에 총 774억원을 낸 53개 대기업 전체가 모두 수사대상에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특검의 결정은, 여론을 의식하고 수사의 상징성을 부여하기 위해 재벌 총수를 드러내놓고 표적 수사를 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어 실망적이다”면서 “이 부회장 사례가 후속 수사 대상 기업에게도 적용된다면 총수들의 줄구속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불만감을 드러냈다.
◆재계 당혹...경영활동 '올스톱'
재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연매출 270조원(2015년 기준) 규모인 삼성의 총수가 결국 인신 구속되면서 경제에 미칠 악영향은 불가피하게 됐다.
다음 수사대상으로 꼽히는 SK그룹과 롯데그룹은 초긴장 상태다. SK와 롯데 등 총수들에 대한 수사까지 본격화하면 관련 기업의 경영활동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SK는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짐에도 최근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등 주요 계열사를 앞세워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11일 향후 3년에 걸쳐 11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SK이노베이션도 올해 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선언했고, SK하이닉스도 6조~7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도 '5년간 40조원 투자와 7만명 신규 채용'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 있다.
SK그룹과 롯데그룹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낸 출연금은 각각 111억원, 45억원이다. 당시 SK는 최태원 회장 사면, 롯데는 면세점 인허가라는 중요 현안이 있었다.
SK와 롯데를 비롯해 CJ, 부영 등 53개 대기업 전체가 모두 수사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 그룹의 수뇌부와 법무팀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수십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계획이나 신규채용 등 모든 활동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가뜩이나 오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데다 사드 배치를 계기로 악화된 중국과의 관계 모색도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대기업 고위임원은 “경제가 녹록치 않은 상황임에도 대기업들은 수사 대응 및 분위기 파악에 최우선 순위를 둘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이날 입장 자료를 내고 "이 부회장의 구속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우리 기업인들의 '경제하려는 의지'를 더욱 꺾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법당국의 신중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선거때면 나오는 재벌개혁
대선도 문제다. 여야 정치권이 최순실 게이트에서 드러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며 연달아 '재벌 때리기'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힌 잠룡들도 비슷하다. 성난 촛불 민심을 등에 업고 재벌들을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는 모양새다.
상황이 이렇자 재계 안팎에서는 반(反)기업 정서를 부추겨 가뜩이나 침체된 시장경제의 활력을 낮추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특검 수사 뿐 아니라 대선 후보결정에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경제성장율이 갈수록 낮아지는 가운데 대부분 후보들이 재벌개혁을 외치고 있어 기업별 투자 및 기업 경영 활동은 더 위축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는 재벌개혁 공약이 얼마나 현실을 반영했는지 모르겠다"며 "결국 촛불민심에 영합해 표심만 의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