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노조는 17일 성명을 통해 "기업은행이 공기업으로 지정된다면 중소기업 및 서민금융 지원 등 국책은행만이 할 수 있는 공공성 영역을 지키고 그러한 금융환경을 만들어야 함에도 정부의 지침에 얽매여 어려울 때 우산이 되어주기는커녕 정부 입김에 좌지우지되는 허수아비가 될 것이 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업은행은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돼 있고 IBK캐피탈과 IBK투자증권, IBK자산운용, IBK저축은행 등 자회사는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기업은행을 기타공공기관에서 공기업으로 지정하고, 이들 자회사를 기타공공기관에 다시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노조 측은 "정부가 무리하게 공기업 경영에 개입하고 낙하산 자리로 이용하는 등 숱한 폐해를 우리의 눈으로 똑똑히 보고 있다"면서 "정부의 억지로 발생된 공기업의 부채로 인해 철도비용은 증가했고 상하수도 요금까지 상승되는 등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됐다"고 꼬집었다.
이어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서민들에게 꼭 필요한 은행이 되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경영이 필수다"면서 "기업은행의 민영화에 대한 연구와 검토는 이미 오래 전부터 진행됐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