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열린 바이오특별위원회에서는 '바이오의약품 규제관리 선진화 방안(안)' 등 4개 안건에 대해 심의·확정했다.
바이오의약품 규제관리 선진화를 위해 식약처는 우리나라 규제관리 역량과 서비스를 글로벌 수준으로 선진화하고 바이오분야가 미래먹거리로 육성되도록 적극 뒷받침할 방침이다.
더불어 올해 세포치료제 등 총 6건의 가이드라인을 제·개정하고 바이오융복합제품 분류기준·절차마련, 유전자치료제 임상시엄가이드라인 제정 등 최신 기술동향을 반영해 첨단바이오의약품 허가 심사 기반도 강화한다. 또한, 전문임기제 정원 및 심사관 채용 확대를 통해 바이오의약품의 신속한 허가심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추진 개선 계획을 수립, 미래부, 복지부, 농식품부 등 7개 부처는최신 연구동향을 반영하고 비효율적인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사업비 5788억원에 대한 개선 계획을 마련했다.
현재 일부 부처에서 운영되고 있는 연구단 형태를 2018년부터는 공동사무국(범부처 사업단) 체제로 전환하고 부처 간 연계·협력을 강화한다. 각 부처의 연구범위를 재조정해 연구중복을 방지하고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
신규 생명현상 연구 및 빅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혁신적 분석 프로그램 개발 등 최신 연구영역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또한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를 중심으로 각 부처의 유전체 사업 정보를 통합·연계해, 연구 및 산업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전체 정보 활용을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올해 바이오특별위원회 운영을 위한 아젠다도 설정했다.
미래부는 바이오 생태계 전반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나가기 위해 '2017년 바이오특별위원회 운영 계획(안)'을 수립했다. 특히 올해는 바이오특위의 정책과 예산·평가 간 연계를 강화하고 현장의 소통과 정책 점검을 강화하는 등 바이오 컨트롤타워로써 역할을 강화하여 현장의 정책 체감도를 높여나갈 예정이다.
올해 바이오특별위원회가 추진할 6대 아젠다는 △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과 '바이오 중장기 인력 양성 방안' 수립을 통한 바이오 경제 시대에 대비한 국가의 중장기 비전과 전략 제시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효율화 전략', '바이오 범부처 통계체계' 마련 등으로 바이오 인프라 효율화 △'바이오 규제개선 TF'를 구성해 현장 규제를 상시 발굴하는 등 규제 선진화 △기존에 확정된 정책이 현장에 신속히 안착할 수 있도록 주기적 점검 강화 △기존의 레드바이오 중심의 현안 해결에서 벗어나 그린·화이트 바이오, 바이오 융복합 등에서 유망분야 발굴을 통한 전략적 육성 △인·허가, 해외 기관 협력 등 해외 진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애로를 해결해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활성화 등이다.
마지막으로 농생명 소재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 농식품부, 미래부, 복지부 등 6개 부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스타 농생명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기본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올해에는 농생명소재발굴추진단을 구성해 소재별 기술로드맵을 제시하고, 민간주도 C&D(Connect and Development)형 프로젝트로 연계해 스타 농생명소재를 발굴한다.
또한 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술사업화자금지원 확대, 임상시험 비용지원 등 전주기 사업화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바이오 경제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특별위원회 차원에서 각 부처의 적극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바이오에 대한 전략적 육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산‧학‧연도 각자의 자리에서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