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특허출원 건수.[그래프= 특허청]
아주경제 송창범 기자 =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나마 고령자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해주는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2016년) 고령자 생활안전 지원기술에 관한 특허 출원은 연평균 153건으로, 그 이전 5년간(2007~2011년) 연평균 출원건수인 72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고령자 생활안전 지원기술은 크게 △노인의 신체나 실내에 감시센서를 장착해 주거생활을 모니터링하고 위급상황을 감지, 보호자에게 알리는 ‘응급안전관리기술’ △사회복지사나 의사가 원격으로 노인과 통신하며 건강상태를 진단·처방하고 상담을 진행하는 ‘원격돌보미기술’ △치매노인을 주요 대상으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고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울리는 ‘실종방지기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5년간 분야별 특허출원을 살펴보면, 응급안전관리기술이 425건(56%), 원격돌보미기술이 132건(17%), 실종방지기술이 125건(16%)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응급안전관리기술은 출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분야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결합하여 고도화되고 있다.
또한 고령자 생활안전 지원기술은 기업 출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로, 이전 5년간 평균 41%였던 기업 출원 비중은 최근 5년간 평균 52%로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고령친화산업 분야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고령친화산업 규모는 2012년 27조원에서 2020년 73조원으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중 통신경보기기, 건강측정용품 등 고령친화 용품산업 규모는 2012년 1조7000억원에서 2020년 2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허청 관계자는 “세계 각국의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친화산업의 규모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첨단기술을 적극적으로 결합해 고령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특허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