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제2의 인터넷인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인지한 많은 사람들이 국내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해 토대를 마련한 해였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 기술의 본질을 파악하고 향후 다가올 미래시대를 대비하는 것이다. 2017년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새해 조직개편에서 블록체인확산지원 태스크포스(TF)를 만든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정부 산하기관에서 블록체인 관련 전담 조직이 만들어진 것은 처음이다. 올해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진흥과 많은 결과가 나오길 기원한다.
경기도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도민과 소통을 강화하는 정책 방향도 기대되는 실험이다.
이러한 모든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 틀은 국가 구조 혁신 또는 개혁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물론 그 기저에는 공정과 정의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가 있어야 한다. 실제 모든 제도는 장점과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는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모든 제도 운영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공정과 정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가장 핵심적인 기반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블록체인은 제3의 신뢰기관(TTP: Trust Third Party) 없이도 P2P 네트워크에 신뢰를 확보해주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즉, 신뢰기관 없는 집단지성이 가능한 P2P 신뢰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현재 블록체인 기술은 초기 인터넷이 그랬던 것처럼 속도, 비밀성, 개인정보보호 문제 등 극복해야할 것들이 많다. 그러나 초기의 인터넷이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현재의 인터넷 세상을 만든 것처럼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극복한다면 미래 세계는 블록체인 세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우리는 다가올 블록체인 세상(제2의 인터넷 세상)에 대비해야 한다. 국가는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한 미래 전략을 수립,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차원의 컨트롤타워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3.0 정책을 블록체인 인프라를 활용하는 정부4.0 정책으로 바꿔야 한다.
또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는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의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블록체인에 적극 투자해야 한다. 2017년은 미래세대를 위해 '블록체인 세상'을 실현하는 원년이 되길 기원한다.
블록체인 기술= 데이터를 거래할 때 중앙집중형 서버에 기록을 보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거래 참가자 모두에게 내용을 공개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를 말한다. 누구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불린다. 거래 장부가 공개돼 있고 모든 사용자가 사본을 가지고 있어 해킹 또는 위변조의 위험이 낮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돼 있다. 향후 블록체인 기술은 제조·유통, 공공서비스, 사회·문화, 공유경제 등 전 산업과 정부 기능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