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1.0% 상승했지만, 체감 물가 상승률은 공식지표의 9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식 실업률은 4%인 반면 체감 실업률은 11%가 넘었다.
두 지표 사이에 격차가 커지다 보니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경제고통지수는 공식지표보다 12배 큰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18∼19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30명에게 전화면접 조사한 결과 지난해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23.7포인트로 정부 공식지표에 따른 고통지수(2.0포인트)의 11.9배에 달했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물가상승률이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로 한국은행 중기 물가안정목표(2%)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체감 물가상승률은 9.0%로 공식지표보다 8.0%포인트 높았다. 식료품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항목 위주로 물가가 뛴 점이 체감 물가상승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업률(3.7%)보다 7.7%포인트 높은 11.4%로 나타났다. 일할 의사가 있고 일자리가 주어지면 당장 일할 수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거나 오랜 구직활동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취업 자체를 포기한 ‘니트족’ 등이 공식 실업자에서 제외된 이유다.
설문조사에 나온 체감 실업률은 통계청 지표 중 체감 실업률로 간주되는 고용보조지표 3(10.7%)보다도 0.7%포인트 더 높았다.
경제성장률도 체감과 공식지표가 괴리돼 있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1년 전보다 2.7% 늘었지만, 설문 결과 국민은 경제성장률을 -3.3%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감 지표로만 보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이고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태인 셈이다. 체감 경제고통이 크면 국민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정세균 의장실 관계자는 “청년·고령층 체감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며 “체감 물가 안정을 위해선 정부 비축분을 통해 식료품 가격을 안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유통구조를 효율화해 농산물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