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의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세일앤드리스백)이 중소기업의 자금난에 숨통을 틔어주고 있다.
12일 캠코는 세일앤드리스백 대상 기업의 차입금이 평균 59%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개선된 것이다.
캠코가 지난 2015년부터 시작한 세일앤드리스백은 유동성 위기에 빠진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회생프로그램이다.
유동성에 빠진 중소기업이 보유한 공장이나 사옥 등의 자산을 캠코가 사들인 뒤, 이를 다시 해당 중소기업에 재임대하는 게 골자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산을 매각한 후에도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매각 자금으로 금융권 대출 채권을 갚을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아울러 캠코는 최대 5년간 자산을 임대해주고 이후 해당 기업에 우선매수권을 보장해준다. 기업이 경영정상화를 이루면 공장이나 사옥을 되찾을 수 있는 것이다.
금융회사 등 협업기관이 대상기업을 추천한 기업 가운데 캠코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정해 지원한다. 서울중앙지방법원,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우리·산업·신한·IBK·KEB하나·KB국민은행·부산·경남·대구·광주 등 13개 기관과 MOU를 체결을 통해 지원 기반을 마련했다.
캠코 관계자는 “주로 은행과 중진공이 추천한다”면서 “추천을 받으면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회계법인 평가를 통해서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지 본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고 밝혔다.
2015년도에는 5개 기업의 자산(541억원 규모), 2016년에는 3개 기업의 자산(659억원 규모)인수를 통해 기업을 지원했다.
캠코 관계자는 “기업의 공장이나 사옥 등 자산을 인수하면 차입금이 감소해 기업의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면서 “차입금이 평균적으로 59%가량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규 운영자금을 지원받거나 대출기한이 연장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본다"며 "기업이 운영자금 등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된 셈이다"고 덧붙였다.
캠코는 올해부터는 금융기관의 추천 없이도 중소기업이 직접 캠코에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 지원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선정 방식을 변경했다. 지원 규모 한도도 5000억원으로 확대했다. 2015년도에는 연 1000억원, 2016년도에는 1500억원 가량이었다.
이에 따라 캠코는 자산 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자산인수기획부를 기업개선부로 확대 개편했다. 신청 기업이 증가하면서 기업자산분석팀을 새로 만들고 인원도 늘렸다. 조직 개편을 통해서 인수부터 관리까지 한 부서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 외에도 중소기업진흥공단, 법원, 신·기보 등 기존 MOU 체결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자산인수 대상기업을 적극 발굴하는 등 기업구조조정 시장에서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