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금융사고 예방 ‘고강도 개혁’ 착수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한국투자증권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전임직원을 대상으로 고강도 자정(自淨)을 위한 개혁작업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연초 유상호 사장이 신년사를 통해 “올해를 금융사고 제로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힌 데 따른 후속조치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월 인사에서 영업점 장기근무 직원에 대해 전원 순환 이동발령을 실시하며 2단계로 개혁작업에 나선 상태다. 한 지점에 5년 이상 근무한 직원을 대상으로 영업능력에 관계없이 다른 지점으로 이동 발령을 단행했다. 혹시라도 가려져 있는 사고를 들춰내기 위한 조치다.

또 지난해 말 임직원의 동의 아래 전직원 신용등급을 조회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만간 신용등급이 낮은 직원에 대해서는 고객 접점 근무를 배제, 사고 개연성이 적은 부서에 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법행위에 대한 내부고발 의무를 강화하고, 적발시 징계수위와 구상비율도 상향 적용했다. 고객에게 손실보전 또는 수익보장 각서를 제공하거나 고객과 사적 금전거래가 적발되면 최대 '면직'까지 조치 가능토록 징계 수위를 높인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잇따른 금융사고로 홍역을 앓아왔다. 지난 해 영업점 직원의 사적 금전 거래로 인한 금융사고가 발생하자 한국투자증권은 이미 작년 연말부터 1단계 예방 대책을 수립·실시해 왔다. 하지만 올들어서도 지방 지점 직원이 고객돈을 빌린 뒤 잠적하는 등 잇따라 금융사고가 터지며 회사 이미지를 악화시키고 있다. 

현재 회사는 “당사 직원은 고객과 개인적 금전거래를 절대 하지 않는다. 거래가 있는 고객은 회사에 신고해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을 전 지점에 부착하고 모든 고객에게 이메일과 문자 발송을 통해 적극 고지하고 있다. 또 직원 자진신고 제도를 실시하여 신고 직원에 대해서는 조사를 마친 후 책임을 경감해주기로 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금융회사에 잠재해 있을 수 있는 금융사고가 드러날 수 있다”면서 “당사는 아프더라도 숨김없이 모두 들춰내 깨끗하게 도려내는 수술을 감행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실제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달 고객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않은 직원을 적발하고 면직 조치키로 했다.

유상호 사장은 “리테일 패러다임 변화 3년차를 맞아, 고객 우선의 정도 영업을 완벽하게 정착시켜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조치라도 단행해 고객 최우선의 신뢰 받는 회사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