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생활물가 추가 상승 가능성 낮다"

아주경제 임애신 기자 = 한국은행은 생활물가의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26일 "국제유가 동향이나 구제역 확산 여부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생활물가는 점차 안정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 상승했고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한 생활물가는 상승률이 2.4%를 기록했다.

한은은 최근 생활물가가 상승한 것은 농축수산물·국제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요인과 공공요금 하락폭 축소 때문으로 판단했다. 국제유가와 농축수산물가격 등 공급요인의 기여도는 0.8%포인트, 공공요금 등 제도적 요인의 기여도는 0.3%포인트로 각각 분석됐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라면 판매 진열대에 라면들이 진열되어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한은은 "농축수산물 가격은 봄철 채소류 출하량이 늘고 조류인플루엔자(AI)가 진정세를 보이면서 점차 안정세를 회복할 것"이라며 "최근 발생한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지 않는다면 축산물 가겨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감산을 이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 수준보다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전기·수도·가스 요금과 교통·통신료 등의 공공요금은 정부 방침에 따라 올해 상승 폭이 1% 이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경기와 연관성이 높은 개인서비스 요금은 상승 압력이 높지 않아 오름세가 축소되는 반면, 가공식품 가격은 상승폭이 다소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