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2/27/20170227103914954118.jpg)
다수부처 협업형 조직관리.[이미지=행자부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향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 같은 감염병관리를 비롯해 조류인플루엔자(AI), 사이버정보보안 등 개별 부처가 풀어내기 어려운 문제 해결 때 관련 부처들이 협의해 조직 및 인력을 공동으로 보강할 수 있다.
행정자치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7년도 정부조직관리지침'을 수립했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부처협업의 기구・정원 관리방식을 새로 도입한다.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한 경우 여러 부처들이 모여 조직・인력을 함께 행자부에 요구하게 된다.
또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위탁법인 등과의 업무 연계, 협력・지원도 요구한다. 행자부는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을 개정해 내달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다수부처의 공동 직제개정 요구를 우선 검토한다.
근무시간에 비례해 운영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확대를 추진한다. 일・가정 양립문화 확산과 공공부분 일자리 창출 지원 차원이다. 각 부처에서 요구하면 적합한 직위를 의무적으로 찾아내야 한다. 회계검사, 민원, 출입국관리·통관, 시스템관리 등 '시간선택제 근무적합분야'는 요구정원의 20% 이상으로 규정한다.
이외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기구개편, 인력변동 등 모든 과정의 온라인화를 꾀한다. 아울러 증원 인력의 목적 외 사용 시 제재조치 등이 추가된다.
윤종인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국민안전 강화 등 현안문제 해결과 일자리 만들기, 공공서비스 확충에 조직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각 부처가 자율성과 책임성을 갖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정부조직을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