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2/27/20170227160725844774.jpg)
스웨덴 말뫼시의 워트프론트 개발 조감도. [자료=국토교통부]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조선업 불황에 따라 발생한 폐(廢)조선소 부지를 관광 인프라로 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는 1980년대 말 조선산업 쇠퇴와 함께 도시 쇠락의 위기를 맞은 스웨덴 말뫼시(市)가 폐조선소 부지를 매입해 산업·교육·주거 복합지구로 재개발 한 사례를 본뜬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남해안 발전거점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남해안 지역에서는 조선사업 불황으로 폐조선소 시설과 부지 등의 처리 방안 마련이 절실하게 제기돼 왔다. 특히 폐조선소의 공익적 재활용에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정부도 이 같은 방안을 강구하게 됐다.
국토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토지비축 기능을 활용해 폐조선소 부지를 우선 매입할 예정이다. 토지비축 기능이란 LH가 필요한 토지를 미리 확보한 후 공공개발사업에 직접 활용하거나 국가, 지자체 등에 공급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아직까지 폐조선소 부지 매입이 확정된 곳은 없지만, 현재 통영시 내에 다수 방치된 폐조선소들이 매입 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거제, 여수 등 일부 중소 조선소 위주로도 접촉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통영 내 '신아조선소'의 경우 재활용 방안이 탄력을 받을 것 같다고 국토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 지자체, LH, 민간사업자 등이 공동출자한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고, 해당부지의 입지여건에 적합한 관광단지 등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필요시 지자체는 해당 지역에 대한 도시계획 변경 등 행정지원에 나서게 된다.
스웨덴 말뫼시는 폐조선소 부지에 신재생에너지, 정보기술, 바이오 등 신산업을 집중육성했고, 조선소 본사를 리모델링한 바 있다.
그 결과 일대 조선소 창업인큐베이터에는 500여개의 IT 스타트업 기업이 입주했으며, 새로운 관광수요가 창출돼 유럽의 대표적 랜드마크로 거듭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