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7/20170307110929657819.jpg)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재계 5위 롯데그룹(회장 신동빈)은 그 어느 때보다 우울한 상황이다. 2013년 국세청 세무조사를 시작으로 2015년 신동주-신동빈 형제간 경영권 분쟁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지난해 비자금 의혹에 따른 검찰 수사와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까지 받고 있다. ▲지난 1월 4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민관 합동 소방재난 대응훈련'에서 종합방재센터를 찾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훈련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석유선·김온유 기자 =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재계 5위 롯데그룹(회장 신동빈)은 그 어느 때보다 우울한 상황이다.
2013년 국세청 세무조사를 시작으로 2015년 신동주-신동빈 형제간 경영권 분쟁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지난해 비자금 의혹에 따른 검찰 수사와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 수사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않다.
이에 지난해 구속 수사의 고비를 넘긴 신동빈 회장은 대국민 사과와 경영혁신안을 발표, 최근 인사를 통해 황각규 경영혁신실장(사장)을 필두로 4개 BU(business Unit)장을 선임하는 등 쇄신에 시동을 걸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야심찬 경영행보에 급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특히 롯데 일가의 숙원사업인 롯데월드타워가 어렵사리 서울시의 사용승인을 획득, 그룹의 공식 창립기념일인 4월 3일에 맞춰 그랜드 오픈식과 성대한 창립기념식을 준비했으나 마냥 축포를 쏠 수 없는 처지다.
롯데 관계자는 “예년에는 별도로 그룹 창립기념일 관련 행사를 하지 않았지만, 창립 50주년과 롯데월드타워 그랜드 오픈에 맞춰 기념행사를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사드 보복 등 국내외 사정이 어수선해서 아직은 구체적인 행사계획을 정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실제 롯데그룹은 지난 2014년 12월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의 일본 롯데그룹 주요 계열사 임원직 해임에서 촉발된 형제간 경영권 분쟁을 시작으로 지난 2년여간 초대형 악재가 이어지면서 내홍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6월 주요 계열사에 대한 대대적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3개월 넘게 이어진 검찰의 전방위적 수사로 그룹내 분위기가 쑥대밭이 됐고, 신동빈 회장도 어렵사리 구속 위기를 넘겼다. 이 와중에 그룹의 2인자인 이인원 부회장이 자살하는 비극도 발생했다.
검찰 수사 고비를 넘긴 후에는 ‘최순실 게이트’에 롯데가 다시 연루되면서 홍역을 치렀고 탄핵 정국과 맞물리면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 이런 와중에 ‘국익을 위해’ 제공한 사드 부지로 인해 롯데는 신 회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중국 사업이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중국 내 사업장인 롯데마트는 6일 오후까지 중국 전역의 39개 점포가 무더기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손실 계산조차 못할 지경이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롯데는 지난 5일 황각규 경영혁신실장(사장)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에 사실상 ‘SOS(구원 요청)’를 표했다. 롯데가 현재 중국에서 현지인을 2만명 가까이 고용하는 등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는 점, 롯데의 성주골프장 사드부지 제공이 국가 안보 요청에 따른 것일 뿐 기업이 주도할 입장이 아니라는 점 등을 정부가 중국 정부에 부각해달라는 것이다.
다만 롯데로선 마냥 정부의 외교력에 기댈 수도 없는 처지다. 이에 따라 대중국 사업의 위기감이 고조될 경우 부진한 중국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롯데 계열사의 이 지역 신규 투자·출점 및 인수합병(M&A) 등을 적극 추진, 탈중국 전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몇년간 롯데의 악재는 왠만한 기업이 10년간 겪어도 모자랄 정도 대형 이슈가 이어졌다”며 “창립 50주년을 맞은 롯데가 국익을 위해 사드 부지를 내놓고 어려운 상황인 만큼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롯데를 지원사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