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8/20170308120733566760.jpg)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올해 들어 900명 가까운 A형간염 환자가 발생해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형간염이 유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8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 1월부터 3월까지 발생한 A형간염 환자는 총 891명이다.
월별로는 1월에 408명, 2월에 422명의 환자가 나왔다. 지난해 같은 기간(1월 162명·2월 339명)보다 60% 이상 많은 인원이다. 올 3월에는 61명의 환자가 나왔다.
A형간염 감염자는 2011년 5521명에 달했지만 2012년 1197명으로 크게 떨어진 후 2013년 867명, 2014년 1307명, 2015년 1804명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6년 들어 4677명에 달하는 환자가 나왔다. 시기적으론 3∼5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질본 관계자는 "봄철 유행을 꺾지 못하면 A형간염 환자수가 지난해 규모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A형간염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먹고 걸린다. 환자 분변 등으로 옮겨지기도 한다. 잠복기는 최대 50일이다. 주된 증상은 황달과 발열, 복통, 메스꺼움, 설사, 암갈색 소변 등이다.
전체 환자의 70%가 20∼40대인데, 어린이나 노인과 달리 간세포가 망가지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상황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A형간염은 치료제는 없지만 예방백신이 있다. 예방 접종은 보통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전에 맞아야 효과를 보이지만 A형간염은 바이러스 노출 후 2주 안에만 접종하면 발병을 막을 수 있다.
보건당국은 전면 예방접종사업에 큰 예산이 필요한 점을 고려해 20∼40대 중 A형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