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동영상] 왕훙, 새로운 직업으로 뜰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3-09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왕훙 ‘차차여성(茶茶女性)’이 여성오락채널 트렌디(TRENDY)의 '멋 좀 아는 언니2’ 에서 방송을 하고 있다.[사진=CNC컴퍼니 제공]

아주차이나 김봉철·박은주 기자 =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흔히 왕훙(網紅)이라고 하면 중국인들이 방송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중국어에 능통한 한국인들도 많다.

특히 최근 들어 새로운 직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내에서 왕훙 마케팅이 활발해지면서 고정 수입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왕훙 ‘차차여성(茶茶女性)’은 미스코리아를 준비하다가 2년 전 왕훙에 입문했다.

그는 미인대회&아나운서, 뷰티&패션 개인방송 셀럽으로 1회당 최대 시청자 수 46만명, 월 평균 시청자 수 600만명을 자랑한다. 지난해 중국 최대 패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모구지에’(蘑菇街)에 생방송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차차여성은 “어릴 때부터 중국어 등 외국어에 관심이 많았고 원래 미인대회를 준비했었다”면서 “미스코리아처럼 한국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찾다가 왕훙을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혼자 좋아해서 일을 시작했다면 지금은 책임감이 많이 느낀다. 요청이 늘어나 방송도 매일하게 되면서 어려움도 많지만 보람도 크다”고 덧붙였다.

국내에는 이 같은 왕훙을 관리하기 위한 아카데미, 매니지먼트 회사들도 생겨나고 있다.

이들 회사들은 왕훙 지망생들을 직접 육성하고 관리하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중이다.

기업 입장에서도 검증되지 않은 왕훙으로 인해 자칫 브랜드 이미지를 회손 하거나 제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같은 에이전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이승진 CNC컴퍼니 이사는 “중국의 경제 발전으로 제조업 중심의 소비가 급부상과 함께 정보 큐레이션의 정보 큐레이션의 채널로서의 왕훙이 각광을 받고 있다”면서 “제품 위주였던 소비 트렌드가 이제 신뢰할 수 있는 누군가를 통하는 사람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30여명의 왕훙을 보유하고 있는 CNC컴퍼니의 뷰티방송 시청자 수는 월 1500만명에 달한다.

이 이사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으로 진출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마케팅”이라며 “중국 사람보다는 한국 사람이 한국 제품을 중국어로 알려 주고 콘텐츠를 잘 만들다 보니 반응이 좋았다”고 전했다.

LEP 아카데미는 한중합작회사로, 한국 최초 왕훙을 교육하는 아카데미를 선보였다. 설립 이래로 중국 내 BJ 플랫폼인 ‘fenbei(分贝直播)’, ‘동방예술학교’ 등과 업무 협약을 맺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매월 중국 연예인, 왕훙 초청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