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제안' 토론회에 참석한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장.[사진=권지예 기자]
아주경제 권지예 기자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과학기술 연구성과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과학기술계는 여성과학기술인들의 경력단절 문제를 극복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제안' 토론회에서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장은 "제도적으로 육아휴직이 마련돼있기는 하나 실제로 이를 하는 여성 과학기술인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카이스트의 경우 개인별로 경쟁이 심해 잘 안 쓰려고 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OECD 회원국 중 최장 노동시간에 시달리는 한국사회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은 요원한 과제고, 특히나 과학기술계에는 경력단절의 두려움에 이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일과 가정의 양립 문제는 여성 경력단절의 최대 원인"이라며 "과학기술예에서는 고용 회복이 없는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과학기술 분야는 상당한 전문 지식과 기술의 축적을 요구해, 경력 구축시 신체적 회복과 경력의 괴리가 유달리 큰 것이 현실이다. 이에 연구과제 수행과 평가의 유연성 확대는 물론, 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업적평가 가산점 도입 등 적극적인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김 원장은 주장했다.
그는 "일·가정 양립에 있어서 출산·육아·가족돌봄 등은 여성 과학기술인만의 문제가 아닌 과학기술계 전체의 문제로 인식을 전환하고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의 일·가정 양립 제도는 출산과 육아가 여성의 문제로 인식돼 여성 정책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녀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출산과 양육이 부부 공동 책임이자 국가의 책임으로, 유연근무제 확산과 남성의 육아휴직 확대가 필요하다는 게 과학기술계의 소견이다.
또한 육아휴직으로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과학기술계에서는 대체인력 시스템 구축이 필수지만, 현재 국가가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음에도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김 원장은 "어떤 연구를 하고 있었는지, 어떤 기술의 인력이 필요한지 찾아주는 전문적인 코디네이터가 필요하다"면서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운영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문미옥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젠더혁신 연구는 과학기술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성장동력이다. 우수한 여성 인재들이 과학기술계에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극복해야할 것들이 많다"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달라.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정책으로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