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국민들은 잠자는 돈을 총 1조2450억원 찾아갔다. 그럼에도 아직 1조3911억원의 휴면금융재산이 남아있다.
금감원은 지난 2015년 6월 국민들이 모르고 찾아가지 않는 휴면금융재산을 찾아주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이후 20개월 동안 642만명이 총 1조2450억원의 휴면금융재산을 찾아갔다.
하지만 휴면금융재산 규모는 더 커졌다. 지난해 9월 1조3729억원에서 1월 말 1조3911억원으로 늘었다.

휴면금융재산 잔액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아울러 휴면금융재산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12월 16일부터 1월 말까지 47일간 금감원과 금융회사가 공동으로 '휴면금융재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전개한 결과, 76만명이 총 1591억원을 찾아갔다. 월평균 환급액이 캠페인 이전에 비해 81% 급증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회사 자체적으로 만기가 된 상품에 대해 보험금을 받아갈 수 있도록 고객들에게 안내하고 있다"면서 "이 중 이사를 가서 주소가 맞지 않거나 해외로 이민을 간 경우에는 자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국민들이 잊고 지내는 돈의 대부분은 보험금이다. 환급된 휴면금융재산 중 휴면보험금은 1조154억원으로 전체의 81.5%에 달했다. 또 아직 찾아가지 않는 돈에서도 휴면보험금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총 7957억원으로 57.2%를 차지했다.
금감원 금융혁신국 관계자는 "은행 예·적금의 경우 1~3년 후 만기가 되면 돈을 빼가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보험의 경우 10년 이상 장기계약이 많다 보니 잊어버리는 일이 많다"며 "또 옛날 상품 중 일부는 만기가 돼도 이자를 조금씩 주는 게 있어 안 찾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휴면보험금의 대부분은 생명보험에서 발생했다. 1월말 기준 휴면보험금 7957억원 중 생명보험이 72.2%이며, 손해보험은 7.8%로 집계됐다. 생명보험 특성상 10년 이상 장기계약이 많은 반면 손보는 사고에 대한 보장 성격이 짙어 보험금을 바로 청구하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국은 국민들의 잠자는 돈 찾기를 위해 행정자치부로부터 주소 정보를 제공받아 올 하반기 금융권에 공유할 방침이다. 올 2분기부터는 은행 영업점에서 모든 은행의 휴면예금·휴면성신탁이 조회되도록 개선된다. 인터넷 사용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해서다.
또 현재 개인명의만 조회가 가능하지만 오랳 중 법인명의의 휴면보험금 조회도 가능해진다. 휴면금융재산 감소를 위한 금융회사의 자율적인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내년부터 소비자보호실태평가 항목에 관련 업무프로세스 구축 및 시행 여부를 반영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당국은 새로 발생하는 휴면금융재산의 발생을 막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우편뿐 아니라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안내수단을 확대하고 만기 1개월 전, 만기 직전, 만기 후 보험금 수령 시까지 3단계에 걸쳐 안내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