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안선영 기자 =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국내 가계부채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대출금리가 높고 저신용·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 대출이 '뇌관'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의 가계신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부채는 141조원 늘어난 1344조3000억원이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올해 1∼2월 3조원, 비은행권은 1월 중에만 3조원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전체 규모는 135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저신용자, 다중채무자,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부담이 가중됐다. 한은은 10개 신용등급 중 7∼10등급인 저신용 차입자의 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80%를 넘는 것으로 봤다.
저신용 대출자의 거의 대부분이 금리 인상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금융회사는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이 많아 충격의 강도도 크다.
이 때문에 정부는 금리 인상으로 부실 위험이 커진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금융위·금감원 수장은 연일 제2금융권을 향해 가계대출을 자제하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열린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은행권이 금리 상승에 대비해 가계대출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2금융권이 단기적인 이익에 급급해 리스크관리를 소홀히 하고,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을 과도하게 늘리면 향후 건전성에 큰 문제가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웅섭 금감원장도 금융협회장들을 불러 모아 "가계대출 영업을 확대하지 말고 리스크관리를 강화해달라"고 촉구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이 고위험대출을 할 경우 충당금을 더 많이 쌓도록 하는 등 시중금리가 더 오르기 전에 2금융권 리스크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