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특집] 새로운 도전의 땅: 케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3-28 08: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케냐는 흔히 우리들에게 사파리 공원, 킬리만자로, 마사이족, 환경보호 등으로 기억되는 나라이다.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는 케냐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담고 있다. 수도 나이로비는 적도와 가깝지만 해발 1700m에 위치해 생활환경이 쾌적한 편이다. 관광업이 발달한 국가로 관광이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아프리카의 영봉이라는 킬리만자로는 5895m 높이로 탄자니아와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있다. 최근 줄어들고 있는 킬리만자로 정상의 만년설은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기도 했다. 유엔환경계획(UNEP) 본부 및 유엔 해비탯 본부가 있는 나이로비는 환경보호 운동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아프리카에서 환경 운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처음으로 수상한 왕가리 마타이 여사가 케냐 출신인 것도 우연은 아닐 것이다.

케냐는 국제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아프리카연합 소말리아 파견단(AMISOM)의 일원으로 군대를 파병하여 치안유지를 돕고 있는데, 때문에 과격한 이슬람 단체인 알샤바의 공격 목표가 되고 있다. 지난 2014년 5월 소말리아의 알샤바 테러집단이 나이로비 쇼핑몰에서 수십명의 사상자를 낸 폭탄 테러를 저질러 관광산업에 큰 타격을 입기도 했다. 

◆ 공고한 시장경제 구조···1차산업 비중 높지만 최근 산업화에 속도

케냐는 영국 식민지에서 1963년 독립하였다. 수차례의 쿠데타로 정치적 격동기를 보냈지만, 사회주의 체제를 겪지 않은 몇 안 되는 아프리카 국가 중의 하나이다. 한동안 정치적인 불안정으로 무역이나 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했었다. 인도양을 접하고 있고,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남수단 등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몸바사 항은 해상 운송의 요충지 역할을 해오고 있다.

케냐의 경제에서는 여전히 1차산업의 비중이 높다. 가장 비중이 큰 수출품은 차(Tea)로 전체 수출량의 약 23%를 차지하고, 그 다음이 화훼작물 (19%)이다. 때문에 2003년 이후 경제 성장률은 주변의 다른 아프리카 국가와 비교하여 낮은 편이다.

그러나 2014년 이후 경제 성장률은 연평균 5.4%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 인프라가 비교적 양호하여 발전 가능성 커지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ICT) 분야의 발전은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 사회 각 분야에 ICT와 관련한 발전이 속도를 내고 있다. 2007년 서비스를 시작한 케냐의 모바일 뱅킹 이용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성인은 80%, 전체 인구 40%가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고 있다. 

◆ 신재생 에너지 및 자원의 보고···인프라 투자 증가세

케냐는 지열, 풍력, 태양열 등 풍부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남북으로 펼쳐지는 대협곡을 따라 풍력 및 지열 발전의 잠재력이 엄청나다. 2014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280MW의 지열발전소가 한국의 현대엔지니어링과 일본의 도시바 공동으로 건설되었다. 이 발전소가 생산하는 전력량은 케냐 전체 생산량의 5%에 달한다. 케냐는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2020년까지 전력생산량을 6000MW 늘릴 계획이며, 이 중에서 90%는 신재생 에너지가 차지하게 된다.

주요 국가들의 케냐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중국은 2014년부터 몸바사~나이로비 철도를 개·보수하는 데 32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일본은 몸바사 지역에 경제 특구개발과 지열발전에, 미국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늘리고 있다. 2014년에는 유로본드를 성공적으로 발행, 20억 달러를 마련해 인프라 건설에 투자하고 있다.

케냐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급증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254개 회사가 약 22억500만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이는 2014년에 비해 무려 102% 늘어난 것이다. 이 중 유럽의 기업이 130개로 60% 이상을 차지했다. 투자분야는 자동차, 제약, 섬유, 제지, 식품가공, 금융, 석유 탐사, 관광 등 다양하다.

게다가 2009년부터 본격적인 석유 탐사가 시작되어 2012년과 2016년에 여러 탐사지역에서 유전이 발견됐다. 케냐의 석유 매장량은 향후 300년간 케냐가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 비전 2030 통해 중진국 진입 목표···한국기업 진출 기회 늘어날 것이다. 

케냐는 2030년까지 중진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비전 2030을 장기 경제계획으로 삼고 있다. 최근 동남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동아프리카경제공동시장(EAC), 동남아프리카경제기구(COMESA), 남부아프리카경제기구(SACD)등 3개의 경제통합기구(TFTA)를 아우르는 협상이 진행 중이다. TFTA의 성사 가능성은 회원국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 공식 출범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통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TFTA가 출범할 경우 26개 국가를 아우르는 6억3000만명 규모의 거대 단일시장이 탄생하게 된다. 케냐의 사업환경은 매년 개선되고 있는 추세다. 세계은행에서 발행된 2017년 사업지수는 전 세계 190대상 국가 중에서 56위를 차지하였다.

아프리카에서 한국 교민 수가 가장 많은 케냐와 남아공은 한국인들이 생활하기에 비교적 편리한 국가들이다. 대부분 국민이 영어가 가능해 생활에 큰 어려움이 없다. 케냐는 한국에서 자동차·농기계·합성수지·건설 중장비·전자 제품을 수입하는데, 연간 약 3억5000만 달러 규모다. 이는 케냐의 연간 총 수입액 610억 달러의 0.5% 미만이다. 한국으로의 수출은 대부분 1차 산업상품으로 약 9000만 달러 남짓하다. 한국기업은 1980년 이후 31개 회사가 94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케냐 정부는 한국전용공단 설치를 계획하면서 섬유, 피혁, 식품가공업을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새로운 TFTA시장의 탄생은 소비재 시장의 급격한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해상운송의 요충지 역할을 하는 케냐의 경우에는 내륙 운송망을 잘 활용한다면 역내 시장 진출이 용이할 수도 있다. 한국의 기계공업, 조선, 화학, ICT, 제약 산업의 진출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TFTA의 출범을 이끄는 국가이자, 아프리카 각지로의 운송이 용이한 케냐는 한국 기업의 아프리카 대륙 전체 접근성을 높이는 시작점 역할을 할 수 있다. 향후 케냐가 마련한 한국전용공단에서 생산한 물품들이 아프리카 대륙 곳곳으로 판매되는 날이 하루 속히 오기를 기대해 본다.

※ 이진상 교수 프로필
△현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기술경영학과 교수(국제지속발전연구원 원장)
△현 한국 아프리카학회 회장

주요경력 :
△전 덕성여자대학교 특임교수(국제개발협력센터장 및 Director of Duksung-UN Women World Congress)
△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국제개발협력, 경제개발 및 성장과 글로벌화, 아프리카 경제개발 등)
△전 국무총리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평가관리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