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구속된 것에 대해 “박정희 체제의 종언”이라는 평가가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박정희ㆍ전두환 정권의 정책이라도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계승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진보 진영 내부에서 조심스럽게 힘을 얻고 있다.
김대중ㆍ노무현 정권을 진보정권이라 말하지만 여러 정책들을 보면 박정희ㆍ전두환 정권의 정책들이 현재 진보진영들의 요구와 부합하는 측면이 더 많다.
박정희 정권은 지난 1974년 고교평준화를 시행했고 이로 인해 ▲교육 양극화 해소 ▲보편적 교육 기회의 평등 확대 ▲학생들의 고교 입시 부담 완화 등의 좋은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대해 진보 성향의 현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지난 2014년 8월 12일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박정희 정부가 잘한 점이 있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세 가지를 꼽는다. 고교 평준화, 그린벨트, 의료보험(건강보험) 등이다. 이처럼 잘한 점까지 부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런 고교평준화 체제는 김대중 정권의 자립형사립고등학교 도입으로 깨지기 시작하면서 이명박 정권의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전면 확대 등으로 붕괴돼 현재의 교육양극화를 초래했다.
현재 문재인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외고·자사고·국제고의 일반고 전환을 교육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진보진영에 속하는 후보들이 결과적으로 박정희 정권의 고교평준화 계승을 교육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
의료 정책에 있어서도 현재 진보진영은 영리 병원 도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영리 병원을 처음으로 허용한 것은 김대중 정권이다. 이전에는 영리 병원이 법으로 금지됐었다. 현재 건강보험당연지정제도가 처음 법제화된 것도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9년이다.
입시 제도에 있어서도 전두환 정권이 시행한 과외금지와 ‘학력고사ㆍ내신’ 성적에 의한 단일 입시제도가 교육 기회의 평등을 실질적으로 제일 잘 보장했다는 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1984년 1월 4일자 경향신문을 보면 당시 학력고사 340점 만점에 323점을 얻은 한 여고생의 사연이 보도됐다. 이 여고생은 중학교 때 부모가 모두 사망해 고아가 됐고 여동생과 자취를 해 3년 동안 장학금을 받고 수석 졸업했다.
현재 진보진영은 수시 축소에 반대하고 있지만 최소한 결과적으로 보면 수시 도입 후 입시가 복잡해지면서 교육 양극화가 심화됐다.
문재인 후보의 역대 대통령 공과 발언을 계기로 앞으로 이런 역대 대통령 공과를 정확히 평가해 이런 것들은 계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