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중도 포기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횡이어서 충북도 역시 사업 포기에 무게가 실렸지만 일부 도의원들이 반발하면서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북도가 사업 포기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은 에코폴리스 개발과 관련된 주변 여건이 만만치 않은 이유다.
앞서, 충주 에코폴리스는 지난 2013년 지구 지정이 된 지 5년 차를 맞고 있지만 아직까지 첫 삽도 뜨지 못했다. 지구 지정 직후부터 "인근 공군부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국방부의 반발에 직면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 과정에서 국내·외 투자 여건이 악화돼 개발사업자 확보와 기업유치가 불투명해지면서 최근에는 SPC가 충북도와 충주시에 재원 추가 분담과 미분양에 따른 책임까지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충주시가 부담해야 할 금액이 1천억원을 넘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충북도는 사업 포기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하지만 충주 출신 충북도의원들이 "경제자유구역의 핵심 사업인 에코폴리스에 대해 도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며 지적하면서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자유한국당 소속 도의원들이 에코폴리스 실패 등을 점검하기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행정부가 심각한 부담을 안고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위가 구성되면 지난해 청주 항공정비(MRO) 단지와 이란 오송투자 유치 실패 등에 대한 책임공방으로까지 번질 가능성도 다분하기 때문이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지난달 29일 언론과 만남에서 "SPC 최대 주주인 현대산업개발 쪽에서 충북도와 충주시가 700억원 정도를 추가 부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며 "결정이 계속 늦어지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지난 2일부터 이시종 충북지사가 유럽 순방 중이어서 이번주 내 결론을 도출하기 쉽지 않을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렇게되면 사실상 에코폴리스의 운명은 오는 7일 이 지사가 귀국한 뒤 결정되고, 다음 주 중 사업 포기 여부에 대한 공식 발표가 나올 것이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