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친환경 조선기자재 기술 인프라활용 및 연구개발 지원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는 14일 오후 3시30분 파라곤호텔(별관5층 다이아몬드홀)에서 조선기자재기업 및 대형조선3사가 참석한 가운데 '가스(LNG)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종합지원 기반구축사업'의 활용기업과 가스연료추진기자재 시험인증센터 간의 업무협약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극저온 시험설비의 공동 활용을 희망하는 기업 53개사와 시험인증센터 간의 업무 협약으로 고압(300 bar 이상)/극저온(-196℃)/상변화(액체→기체→액체) 시험이 가능한 설비를 협약 기업들이 공동 활용 및 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통합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선경기가 장기적인 침체인 상황에서 가스(LNG)연료추진 및 벙커링 시장은 국제 해양환경규제의 강화와 LNG 가격 하락으로 시장이 크게 성장 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5년까지 약 1천여척의 LNG 연료추진 선박이 건조되어 인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연관 설비 시장(기자재, 벙커링 설비, 선박 등) 규모는 7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조선해양 분야의 활로 모색 및 세계 친환경 연료추진 선박 기술 수요 만족을 위해 지난 2016년 4월 (재)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이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참여기관 :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한국가스공사)으로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총사업비 231억원(국비 100, 시비 116, 민간 15)을 지원 받아 부산시 강서구 미음 R&D 허브 단지 내 1만275㎡의 부지에 시험인증 센터를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시험 설비에 대한 설계 및 토목 설계가 완료된 상황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LNG조선기자재 기술의 국산화로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면 오는 2025년 국내 LNG추진선박 건조 비중이 전 세계 25%, 기자재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30%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된다"며 "그 동안 조선기자재업체들이 국내 가스관련 법적 제약과 경기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LNG시장으로 진입 하게 되면 조선경기는 물론 조선기자재기업 활성화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