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유엔기후변화협정 발효 등 신재생 에너지 확대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기후변화협정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9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 협정은 지구의 대기온도 상승 폭을 2℃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정에 참여하는 각국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25일 유엔환경계획(UNEP) 등에 따르면, 지난해 증설된 전 세계 재생 가능 에너지 신규 발전용량은 138.5GW로 역대 최대치다. 이는 지난해 신규로 증설된 신규 발전용량의 절반을 넘는 55%에 달하는 규모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발전용량에서 재생 가능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10.3%에서 지난해 11.3%로 증가했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에 발맞춰 지난해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신재생에너지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7월 2020년까지 총 42조원을 투자해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구체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33조원을 투입하는 것을 비롯해 △에너지저장장치(ESS) 4조5000억원 △스마트미터 2조5000억원 △친환경발전에 2조원 등을 투자한다.
특히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석탄화력 26기에 해당하는 1300만kW 규모의 발전소를 확충할 계획까지 마련했다.
또 지난해 말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1%까지 확대하는 시기를 오는 2035년에서 2025년으로 10년 앞당기겠다고 발표해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안도 꾸준히 내놓고 있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각 후보들은 '탈(脫)원전', '석탄 화력발전 감축' 등을 내세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침은 동일하다.
그러나 이 같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확대 바람을 가로막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몽니가 만만찮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줄곧 오바마 행정부 친환경 정책을 철회하고, 대신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중시하는 에너지 정책을 펼 것이라고 밝혀왔다.
특히 외신에 따르면 오는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최우선(America First)’이라는 이름의 에너지 정책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고 환경·문화 자원 훼손에 가로막힌 원유 시추나 광산 채굴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다만 트럼프의 이런 행보로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확대 추세가 꺾이진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미국의 민간 기업은 태양열 기술 등 친환경 에너지에 많은 투자를 한 상태"라며 "기업투자가 이뤄진 만큼, 트럼프 행정부가 이런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협정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9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 협정은 지구의 대기온도 상승 폭을 2℃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정에 참여하는 각국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25일 유엔환경계획(UNEP) 등에 따르면, 지난해 증설된 전 세계 재생 가능 에너지 신규 발전용량은 138.5GW로 역대 최대치다. 이는 지난해 신규로 증설된 신규 발전용량의 절반을 넘는 55%에 달하는 규모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에 발맞춰 지난해 에너지신산업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신재생에너지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7월 2020년까지 총 42조원을 투자해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구체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33조원을 투입하는 것을 비롯해 △에너지저장장치(ESS) 4조5000억원 △스마트미터 2조5000억원 △친환경발전에 2조원 등을 투자한다.
특히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석탄화력 26기에 해당하는 1300만kW 규모의 발전소를 확충할 계획까지 마련했다.
또 지난해 말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1%까지 확대하는 시기를 오는 2035년에서 2025년으로 10년 앞당기겠다고 발표해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안도 꾸준히 내놓고 있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각 후보들은 '탈(脫)원전', '석탄 화력발전 감축' 등을 내세워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침은 동일하다.
그러나 이 같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확대 바람을 가로막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몽니가 만만찮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줄곧 오바마 행정부 친환경 정책을 철회하고, 대신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중시하는 에너지 정책을 펼 것이라고 밝혀왔다.
특히 외신에 따르면 오는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최우선(America First)’이라는 이름의 에너지 정책에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고 환경·문화 자원 훼손에 가로막힌 원유 시추나 광산 채굴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다만 트럼프의 이런 행보로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확대 추세가 꺾이진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미국의 민간 기업은 태양열 기술 등 친환경 에너지에 많은 투자를 한 상태"라며 "기업투자가 이뤄진 만큼, 트럼프 행정부가 이런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