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흔들기가 계속 되고 있다. 무역을 빌미로 대북 대응에 협력을 촉구한 데 이어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논란이 된 민주당 해킹 사건의 주범으로 중국을 꼽고 있어 중국 측의 대응에 관심이 쏠린다.
미 의회 전문지 더 힐 등 외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미 대선 당시 논란이 됐던 민주당 인사들의 이메일에 대한 해킹을 중국이 했을 수도 있고 다른 단체가 했을 수도 있다"며 "해킹 주체를 단정해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는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가능성을 전면 부인하는 것으로, 지난달 1월의 입장과 상반되는 것이다. 당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민주당 해킹의 배후라고 생각한다"며 "민주당 측은 해킹에 무방비 상태였다"고 밝혔었다.
미 정보당국이 이미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가능성을 인정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을 바꾼 데는 대북 대응 차원에서 중국을 압박하는 또 다른 카드로 활용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역 협상 관계를 빌미로 대북 대응에 협력하기를 촉구하는 작전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수백만 명의 사망자가 나오는 대규모 전투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는 무역보다 중요하다"며 "중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협력한다면 무역 면에서 양보하겠다"는 뜻을 밝힌 상태다.
또 "북한 핵실험이 계속될 경우 중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인물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행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도 북한의 핵 도발을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미국과 중국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은 한층 완화된 미·중 관계를 강조하면서도 '환율 조작국' 미지정 문제가 완전히 끝난 상태는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내일이라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북핵 등 한반도 문제를 외교 최우선 순위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라도 환율 조작국 지정 가능성이 있다는 여지를 남겨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예기치 않는 발언으로 갈팡질팡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특성상 불가능한 일도 아니어서 중국 측의 대응에 관심이 쏠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