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최근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는 한국 수출이 지난달 수출액 기준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선박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최근 수출 증가세를 책임지는 반도체 역시 역대 2위로 호황을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 수출액이 510억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4.2%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수출액 기준 2014년 10월 516억 달러 이후 역대 두번째로 많다.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다. 수출이 6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2011년 12월 이후 5년 4개월 만이다. 또 지난 1월 11.2%, 2월 20.2%, 3월 13.6%에 이어 2011년 9월 이후 5년 7개월 만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다.
일 평균 수출액 역시 22억3000만 달러로, 지난 2014년 10월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DP)·일반기계·선박·철강·석유화학·자동차 등 9개 품목이 호조를 보였다.
특히 선박의 경우 고부가가치선인 화공설비(CPE), 고정식 해양설비 등 해양플랜트 2척을 포함해 총 24척을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인 71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 역시 메모리 가격 안정세 지속, 신규 스마트폰 출시 및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에 따라 71억4000만 달러를 기록, 7개월 연속 증가세와 함께 역대 2위의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다만 무선통신기기·가전·차부품·섬유 등 4개 품목은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베트남,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CIS), 인도, 중남미로의 수출이 꾸준히 늘었으며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등이 불안요소로 지목됐지만, 이들 지역에 대한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대 중국 수출은 건설경기 호조 및 설비투자 회복세 등으로 반도체·일반기계·정밀기계·석유화학 등이 늘어 2011년 10월 이후 66개월 만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대 미국 수출 역시 무선통신기기, 차 부품 감소에도 일반기계·석유제품·가전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해 3.9%를 기록했다.
눈에 띄는 점은 대 EU 수출이 선박·자동차·일반기계·정밀화학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 64억2000만 달러의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9%나 늘었다.
5월 수출도 올들어 계속된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1~4월 수출의 경우 워낙 감소폭이 커 올해 기저효과를 톡톡히 누렸으나 지난해 5월의 경우 감소 폭이 많지 않아 기저효과가 줄게 된다. 조업일수도 0.5일 줄어 10억 달러 정도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외 여건도 밝지 않다.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고, 환율 변동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과 관련, 반도체와 프리미엄 소비재 등으로 버티고 있지만 중소기업이나 일부 소비재 등에서는 피해가 나타나 어떤 방향성을 띨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선박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최근 수출 증가세를 책임지는 반도체 역시 역대 2위로 호황을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 수출액이 510억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4.2%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수출액 기준 2014년 10월 516억 달러 이후 역대 두번째로 많다.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다. 수출이 6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2011년 12월 이후 5년 4개월 만이다. 또 지난 1월 11.2%, 2월 20.2%, 3월 13.6%에 이어 2011년 9월 이후 5년 7개월 만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다.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DP)·일반기계·선박·철강·석유화학·자동차 등 9개 품목이 호조를 보였다.
특히 선박의 경우 고부가가치선인 화공설비(CPE), 고정식 해양설비 등 해양플랜트 2척을 포함해 총 24척을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인 71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 역시 메모리 가격 안정세 지속, 신규 스마트폰 출시 및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에 따라 71억4000만 달러를 기록, 7개월 연속 증가세와 함께 역대 2위의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다만 무선통신기기·가전·차부품·섬유 등 4개 품목은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베트남,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CIS), 인도, 중남미로의 수출이 꾸준히 늘었으며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등이 불안요소로 지목됐지만, 이들 지역에 대한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
대 중국 수출은 건설경기 호조 및 설비투자 회복세 등으로 반도체·일반기계·정밀기계·석유화학 등이 늘어 2011년 10월 이후 66개월 만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대 미국 수출 역시 무선통신기기, 차 부품 감소에도 일반기계·석유제품·가전 등 증가 영향으로 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해 3.9%를 기록했다.
눈에 띄는 점은 대 EU 수출이 선박·자동차·일반기계·정밀화학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 64억2000만 달러의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9%나 늘었다.
5월 수출도 올들어 계속된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1~4월 수출의 경우 워낙 감소폭이 커 올해 기저효과를 톡톡히 누렸으나 지난해 5월의 경우 감소 폭이 많지 않아 기저효과가 줄게 된다. 조업일수도 0.5일 줄어 10억 달러 정도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외 여건도 밝지 않다.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고, 환율 변동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과 관련, 반도체와 프리미엄 소비재 등으로 버티고 있지만 중소기업이나 일부 소비재 등에서는 피해가 나타나 어떤 방향성을 띨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