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자회사들도 임금을 반납하며 고통분담에 동참하고 있다.
4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신한중공업, 삼우중공업, 웰리브, 대우조선해양건설, DSME정보시스템 등 국내 자회사 5곳이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임금반납 동의절차를 진행한 결과, 약 99.3%가 임금반납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개 자회사는 지난해에도 임원 15~25%, 직원 3~15%의 임금을 반납해 약 20억원의 인건비를 절감했다. 또 올해 4월부터는 임원 15~40%, 직원 10~15%의 임금을 반납할 예정으로, 지난해 이상의 인건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한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자회사들도 임금반납, 무급휴직, 연월차 소진, OT 제한, 자산매각 등 모회사에 준하는 자구계획을 이행해 온다"며 “2015년 이후 희망퇴직 등을 통해 인원 및 조직이 30%가량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구계획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조기 경영정상화를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임금반납 절차를 마무리한 대우조선해양은 1만267명 중 1만209명(99.4%)이 최종적으로 임금반납에 동의했다.
4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신한중공업, 삼우중공업, 웰리브, 대우조선해양건설, DSME정보시스템 등 국내 자회사 5곳이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임금반납 동의절차를 진행한 결과, 약 99.3%가 임금반납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개 자회사는 지난해에도 임원 15~25%, 직원 3~15%의 임금을 반납해 약 20억원의 인건비를 절감했다. 또 올해 4월부터는 임원 15~40%, 직원 10~15%의 임금을 반납할 예정으로, 지난해 이상의 인건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한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자회사들도 임금반납, 무급휴직, 연월차 소진, OT 제한, 자산매각 등 모회사에 준하는 자구계획을 이행해 온다"며 “2015년 이후 희망퇴직 등을 통해 인원 및 조직이 30%가량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구계획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조기 경영정상화를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임금반납 절차를 마무리한 대우조선해양은 1만267명 중 1만209명(99.4%)이 최종적으로 임금반납에 동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