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04/20170504133451796276.jpg)
2016년 및 2017년 아파트 분양받으려는 이유 응답 비교. [자료=부동산114]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조기 대선과 금융권의 집단대출 규제로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늦추는 가운데, 주택 수요자 10명 중 7명은 올해 아파트 청약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3~17일 자사 홈페이지 방문자 539명을 대상으로 올해 아파트 분양시장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0.5%가 올해 아파트를 분양받을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전·월세 거주자(249명)의 73.9%는 분양받을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자가 거주자 중 분양받겠다는 의사는 평균보다 낮은 68.7%로 집계됐다.
분양을 받고자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임대료 상승 부담에 따른 내 집 마련(32.4%) △높은 투자가치에 따른 전매 시세차익 목적(24.7%) △노후아파트에서 새 아파트로의 교체(18.9%) △면적 갈아타기(14.5%) △자녀 교육이나 노후를 위해 지역 이동(9.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분양시장 호황기였던 지난해 설문조사와 비교하면 '분양권시세 차익 목적(28.7%)'은 줄고 '내 집 마련을 위한 것(24.6%)'의 비중은 높아졌다.
강남 4구 거주자는 '내 집 마련(36.5%)'보다는 '전매 시세차익 목적(42.3%)'을 위해 분양받으려는 경우가 많았다.
올해 아파트 분양받을 계획이 없다는 159명 응답자는 이유로 '주택공급 과잉으로 인한 집값 하락 우려(37.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대출 금리 인상 부담(24.5%) △정부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잔금 여신심사 강화(16.4%) △분양가격 조정 우려(11.9%) △강화된 청약규제 여파(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분양 선호 지역은 '경기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가 25.5%로 가장 응답률이 높았다.
이어 △서울 강남 4구 외 지역(22.9%) △서울 강남 4구 재건축(12.6%) △지방·5대광역시 혁신도시 및 택지지구(10.8%) △경기 기타 및 인천(9.7%) △부산 재개발(7.6%) △경기 과천 재건축(6.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박근혜 정부에서 부동산 핵심 과제로 추진된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539명 중 69.4%가 무슨 정책인지 알고 있다고 답했다.
뉴스테이를 신청할 경우 그 이유(중복 응답)로는 '주변 시세와 비슷하거나 낮은 임대료'가 53.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까다롭지 않은 입주자격(31.8%) △택지지구 등 입주가 양호한 곳에서 공급(26.7%) △평면 설계 및 마감재 등이 공공임대보다 양호(22.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