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원승일 기자 =젊은이들은 취업시장 문턱에 발조차 들이지 못하고, 고령자들은 은퇴 후에도 취업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국내 노동시장의 두 얼굴이다. 고용 지표가 이를 증명한다.
올해 3월 들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1.3%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65세 이상 장년층 고용률은 한국이 30.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위, 75세 이상 초 고령층 고용률은 5년 연속 1위에 올랐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5년 동안 실업자와 취업자의 평균연령도 눈에 띄게 높아졌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0년대 초 30대 중반이던 전체 산업 취업자 평균연령은 2013년 40세를 넘어섰고, 2015년 41.1세까지 올랐다. 실업자 평균연령도 2000년 34.3세에서 2015년 38.0세로 높아졌다.
이처럼 장년층 고용률과 청년 실업률이 동시에 상승하고, 취업자와 실업자 평균연령도 함께 높아지는 주된 원인은 일자리 질이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청년층의 경우 파트타임, 인턴 등 질 낮은 단기 일자리로 시작했다 1년이 채 안 돼 그만두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장년들도 노후 준비가 부족한 데다 은퇴 후에도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가장들이 많아 일손을 놓을 수가 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65세 이상 고령자 일자리가 농림어업, 광업 등 1·2차 산업 또는 경비, 청소, 가사도우미 등 단순 업무직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실제 고령층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 10년 새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60세 이상 비정규직은 146만8000명으로 전체 연령대(644만4000명) 중 가장 많은 22.8%를 차지했다. 10년 전인 2006년 8월(61만1000명)에 비해 2.4배나 증가한 것이다.
노동 수요 측면인 청년층과 장년층의 고용 지표가 상반된 모습을 보이면서 공급 측면인 기업들도 규모에 따라 상반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소규모 중소기업의 경우 젊은 노동력 부족으로 구인난에 허덕이는 반면, 대기업은 고령화된 근로자들이 연공서열식 임금제도 탓에 생산성보다 높은 임금을 받아 부담이 커지고 있다.
때문에 노동시장 유연화 등 노동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선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해 노동력의 고령화를 늦추고, 고령자들이 지속적으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생 교육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직능급제 등 생산성과 연동되는 임금체계 도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