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의 영향으로 고농도 미세먼지(PM10)가 발생한 기간(5.5. ~ 5.7.) 동안 인천은 전 권역(서부권역, 동남부권역, 강화권역, 영종권역)에 걸쳐 미세먼지 PM10 주의보 8회, PM10 경보가 4회 발령되는 등 총 12회의 미세먼지(PM10) 경보제를 실시하여 작년에 가장 강했던 황사기간(4.23. ~ 4.24.)보다 2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황사는 5일 오후부터 몽골과 중국 북동지역에서 발원하였으며 지속적인 북서풍을 타고 남동진해 5일 심야시간부터 6일 새벽 사이 백령도를 시작으로 수도권 및 서해안 일대로 확대돼 6일에는 전국이 황사의 영향을 받아 미세먼지 ‘매우 나쁨(151 이상)’수준을 보였고 6일과 7일 저녁시간에 잠시 약화되었으나 황사의 추가발원과 유입으로 8일 현재 지속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관련사진[1]
이번 황사 사례에서 최북단 백령도 지역은 5일 21시 404 ㎍/㎥를 시작으로 6일 04시에 427 ㎍/㎥ 수준에 달했으며 인천 측정소 중 미세먼지 PM10 최고치는 6일 02시 471 ㎍/㎥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기간 동안 인천지역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53 ~ 339 ㎍/㎥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PM10(143 ㎍/㎥)/PM2.5(27 ㎍/㎥) 비는 5.3배 수준으로(평상시 PM10/PM2.5 비율은 2배 수준) 황사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지난 4월 19일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황사)에 대한 중금속 성분 분석 결과, 칼슘, 마그네슘 등 토양성분이 평상시의 1.9 ~ 3.3배 높게 검출됐다. 이번 고농도 사례에 대한 중금속 성분은 2 ~ 3일 정밀 분석시간이 필요한 만큼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또한 8일 현재 중국 북동지역에서 추가 발원한 황사가 유입되고 있어 04시 영종권역을 시작으로 12시 현재 전 권역에 미세먼지 PM10 주의보가 발령되어 있는 상태로 고농도 미세먼지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황사는 추가 발원과 지속적 유입에 따라 고농도 사례가 오래 지속되는 특성을 보여 미세먼지 경보제 발령현황을 주시해야 한다.”며 “등산·축구 등 오랜 실외 활동과 자동차 운행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어린이·노약자와 호흡기 및 심폐질환자의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