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상권을 유지해온 도매 시장의 경우에도 성장 동력이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 시장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따라서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브랜드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동대문 상권이 국내에서도 명동, 신촌, 잠실, 건대 그리고 가리봉 상권 등과 같은 서울 시내의 다른 상권들과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글로벌 경쟁력 확대 방안은 더욱 강조된다. 국내 경쟁을 떠나 동대문 상권의 지속적인 생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가치를 높여 글로벌 경쟁력에서 이길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해외 도매 시장에서도 중국 이외의 다른 지역 바이어를 찾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중국 바이어의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중국과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상권의 생존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의 바이어를 찾을 수 있도록 브랜드 강화 및 홍보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을 민간 주도로 하고 있지만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가장 요구되고 있다. 해외의 패션지구로 유명한 영국 런던의 경우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패션의 판매, 디자인 그리고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미국의 뉴욕 패션지구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경제활성화지구(BID)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대문은 독창적 디자인과 3만여개의 소매 점포의 개별 경쟁력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체계적 홍보와 브랜드 강화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으로 해외 명품 브랜드의 홍보 기지로 활용되고 있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동대문의 도매 시장은 국내와 중국을 벗어나 다른 지역의 바이어 및 수요처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급변하는 글로벌시장 환경에 DDP 패션몰이 적응하고 동대문을 세계적인 패션 지구로 만들기 위해서는 DDP 패션몰에 입점한 점포가 경쟁력 있는 제품을 판매하고, 운영주체인 서울시설관리공단은 DDP 패션몰 홍보와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이처럼 성공적으로 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대문이 글로벌 패션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영국과 미국의 경우 도시 개발 차원에서 패션 지구가 움직이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처음부터 동대문 전체를 서울시 주도로 활성화시킬 수는 없지만 DDP 패션몰을 성공적으로 활성화시킬 경우 동대문 상권을 도약시킬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