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와 위안부 걸려 있는 中·日 어디 먼저 갈지도 관심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문재인 제19대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7일 독일에서 다자 외교무대에 데뷔한다.
외교부에 의하면, 한국 정상 자격으로 참석이 예정된 연내 다자 정상회의 중에서는 가장 가까운 일정이 7월 7∼8일(이하 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다.
그리고 11월 11∼12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11월 13∼14일 필리핀 팜팡가주 클락에서 잇달아 개최되는 한-아세안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아세안 관련 연쇄 회의가 있다.
또 9월 셋째주 뉴욕에서 유엔 총회가 열리는데, 이는 그동안 정상이 직접 가거나 외교장관이 참석해왔기에 문 당선인이 직접 참석하게 될지는 미지수다.
최대의 관심은 이 같은 다자회의보다는 미·중·일·러 등 주요 4개국 '스트롱맨'들과의 정상회담,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언제 어디서 할지로 쏠리고 있다.
한반도 관련 현안을 한국을 뺀 채 논의하는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 논란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기에 7월 G20 정상회의 개최 전 문 당선인이 미국을 방문하는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한반도 상황의 엄중성에 비춰 다자회의(G20 정상회의) 계기에 트럼프와의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모두 모자람이 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도 고려 요인이 될 전망이다.
문 당선인도 지난 2일자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에 당선이 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전화통화를 하면서 무슨 말부터 하겠느냐'는 질문에 "북핵 폐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가능한 가장 빠른 시기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만나자고 할 것"이라고 답하며 조기 정상회담에 의욕을 보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외교·안보 라인의 인선과 정책 수립에 걸릴 물리적 시간을 감안할 때 7월 G20 전에 한미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서두르는 것이 상책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출범한 2001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간에 정상회담이 그해 3월초에 열렸지만, 대북정책을 놓고 선명한 입장 차이만 확인하자 차라리 부시 대통령을 탐색할 시간을 좀 더 가졌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번에는 한국 측의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상회담을 서두를 경우 유사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일각에서는 우려한다.
더불어 문 당선인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위안부 합의 등 민감한 현안이 걸려 있는 중국과 일본 중 어느 나라를 먼저 방문할 것인지도 관심거리다.
jhcho@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