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올 들어 중국 주요 거시지표가 다소 안정되고 환율 변동성도 감소했지만 중국 증시는 예상과 달리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경기 회복, 위안화 절하압력 해소에 따른 외화유출 우려 감소, 시진핑(習近平) 주석 주도의 국가급 신구 슝안(雄安)신구의 등장, 일대일로(육·해상실크로드) 정상포럼 개최 임박 등 호재로 4월 초까지 오름세를 보였던 중국 증시는 지난달 10일부터 내리막길을 탔다.
증권시보(證券時報)는 지난달 7일 이후 한 달여간 중국 A주(내국인 전용) 시가총액이 4조 위안(약 665조3000억원) 이상 증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약 5000만개의 증권계좌 수로 나눠 추산하면 계좌당 8만 위안(약 1310만원)을 잃은 셈이다.
11일 기준으로 저점매수 세력 유입과 일대일로 테마주 강세 등으로 반등에 성공하고 12일 상하이종합지수도 전거래일 대비 0.72% 상승한 3083.51로 거래를 마쳤지만 최근 한 달간 상하이지수 누적 낙폭은 무려 6%에 육박했다. 창업판 지수 낙폭은 7%에 달했다.
4월 초까지만 해도 시장은 2분기 중국 증시가 조정 속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낙관했다. 중국 경제 회복 조짐이 감지됐고 외환시장 안정, 당국의 부동산 규제 강화에 따른 자금 유입 등이 긍정적 전망에 힘을 보탰다.
하지만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고 시장 전망도 서서히 비관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다.
왕이재경(網易財經)은 12일 한 달간의 중국 증시 급락은 거시지표 회복세가 주춤하면서 커진 불안감, 여전히 잔존하는 각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와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은행감독관리위원회(은감회)·보험감독관리위원회(보감회) 등 이른 바 삼회(三會)가 금융규제 강화를 선언하면서 투자심리가 냉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자산거품, 레버리지 확대 방지와 이에 따른 리스크 축소를 중시하면서 인민은행이 서서히 유동성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온건·중립' 통화기조를 내세우고는 있지만 최근의 통화정책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축으로 기운 상태다. 올 들어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지준율 인하 등 대형 완화카드가 아닌 공개시장조작으로 필요한 유동성만 소규모로 주입하고 있다. 수 거래일 연속 역RP(역환매조건부채권) 발행을 중단하거나 공개시장 금리를 인상하는 등 부분적 긴축에 나서기도 했다.
중국 거시지표 회복세도 주춤하는 모양새다. 경제매체 차이신(財新)이 발표하는 4월 차이신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으로 전월치인 51.2를 크게 밑돌며 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규제도 예상만큼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A주 기업공개(IPO)가 살아나며 물량부담이 커진 것도 시장 불안감을 키웠다. 2016년 12월 한 달에만 56개 기업 상장이 승인됐고 올 3월까지 총 120개 이상의 기업이 상장 승인을 받았다.
중국 증시 그래프를 가장 강하게 끌어내린 것은 당국의 금융규제 강화 선언이다. 최근 보감회는 보험회사의 투기행위를 단속하겠다는 뜻을 강력하게 천명했고 은감회, 증감회 수장도 잇따라 시장에 규제 강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이에 따라 만약을 대비해 시장을 떠나는 자금이 늘고 '상황을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홍콩 봉황망(鳳凰網)은 12일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중국 당국의 금융규제 강화 의지가 확실한 만큼 변화와 조정을 피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중국 증시가 폭락하지는 않겠지만 올 하반기까지 조정 속 단계적인 하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