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연간 510억원 예산절감…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에 지자체 몰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5-15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환경부, 홍천‧횡성 등 지자체 20곳 효과 톡톡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환경부가 추진하는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이 탁월한 예산절감 효과를 보이면서 지자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5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시작한 홍천, 횡성 등 20곳 지자체에서 노후 상수관망 정비가 완료될 경우 연간 501억원 예산절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상수도 낙후지역에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재정이 부족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상수관, 정수장 등 시설을 현대화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으로 오래된 상수관이나 정수장을 보유한 총 118곳 지자체를 선정해 올해부터 12년간 총사업비 3조962억원(국고 1조788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사업 첫해인 올해는 가뭄이 빈번하고 누수량이 과다해 사업추진이 시급히 요구되는 강원 2곳(홍천, 횡성), 충북 1곳(보은), 충남 3곳(부여, 서천, 태안), 전북 3곳(무주, 장수, 부안), 전남 4곳(구례, 고흥, 영광, 신안), 경북 3곳(의성, 성주, 울진), 경남 4곳(창녕, 하동, 산청, 함양) 등 모두 20곳 지자체를 우선 추진 중이다.

환경부는 이들 20곳 지자체 급수구역 평균 유수율이 2013년 기준 57.6%에서 사업이 완료되는 2021년 이후에는 유수율이 85%로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연간 절감되는 수돗물은 25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수돗물 생산 원가 기준으로 계산하면 경제적 가치는 연간 501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수돗물 2500만㎥은 세종시 규모 도시에 1년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에 앞서 환경부는 시범사업으로 2010년부터 강원권 5곳 지자체(영월, 정선, 평창, 고성, 태백)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강원권 5곳 지자체 평균 유수율은 사업 전 41.9%에서 사업 후 86%로 상승했으며, 이들 지자체는 누수로 낭비되는 수돗물이 줄어들어 2015년에 심한 가뭄을 겪어도 제한급수를 하지 않았다.

조희송 환경부 수도정책과장은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은 2010년에 추진했던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의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본격적으로 착수했다”며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고, 지자체 수도 재정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