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을 통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축소를 예고했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축소와 함께 민간부문에도 관련 움직임이 확대되면 금융권이 1순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는 이미 민간기업에도 비정규직 고용분담금 제도 등 다양한 방책을 통해 비정규직 비율을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금융권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고 소득양극화가 두드러진 곳은 카드업계다. 8개 카드사 중 3곳의 비정규직 비율은 30%에 육박할 정도다. 비정규직 비중이 높다보니 고용안전성이 낮고 임직원 간 연봉격차도 크다. 실제 대다수 카드사의 남녀 임금격차가 최대 2배에 달하는 데 이는 비정규직 대부분이 여성이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개 카드사 가운데 계약직 직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현대카드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현대카드 계약직 직원은 692명으로 전체 임직원 2259명 중 30.63%나 된다. 8개 카드사의 계약직 비중이 평균 15%라는 점을 감안하면 두 배 이상이다.
업계 1·2위인 신한카드와 삼성카드는 계약직 직원이 각각 285명과 262명으로 비정규직 비중이 9.05%, 12.39%로 나타났다. 하나카드는 787명 중 44명(5.59%)이 계약직이고, KB국민카드는 1576명 중 54명(3.42%)이 계약직으로 비중이 가장 적었다.
업계는 새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 축소공약이 '제2의 가맹점 수수료 인하' 공약만큼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우려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공약을 통해 연매출 3억~5억원인 가맹점의 우대 수수료율을 1.3%에서 1.0%로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문제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이미 카드사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데 비정규직의 정규직 고용부담까지 늘어나게 되면 회사 존폐를 걱정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 코드에 맞춰 비정규직 직원 축소 움직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고 관련 전략짜기에 돌입한 곳도 있다"며 "카드업계는 파견직, 종합계약직, 콜센터 직원 등 특수근무형태가 많아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