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30주년’ 자동차안전연구원…“미래차 교통 안전기술 선도”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K-시티) 조감도.[사진=자동차안전연구원]


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창립 30주년을 맞은 자동차안전연구원이 향후 자율주행차 시대에 발맞춰 연구개발 역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 1987년 5월 15일 당시 세계 10위 자동차 생산국인 한국의 외형에 맞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됐다.

16일 오영태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국민의 격려와 사랑으로 자동차안전연구원이 개원 30주년을 맞았다”며 “국민 행복을 지키기 위함이라는 공단의 존재이유를 잊지 않고, 앞으로도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K-시티’ 2018년 완공

자동차안전연구원은 내년 세계 최고의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인 ‘K-시티’ 공사를 마무리해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안전도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시티’는 자동차 주행시험장 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시험로 환경을 기반으로 36만㎡의 부지에 구축된다. 실제 도로환경과 건물, 자동차, 신호등, 보행자 등 교통 환경과 통신단말기, 검지센서 등 통신환경을 갖춘 실험도시가 만들어지면 국내 자동차 업체의 자율주행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원은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등 미래자동차와 교통환경에 적용할 법령, 제도, 안전기준, 안전성 평가기술 등 자동차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연구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또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연비 관리제도, 자동차 부문 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관리 체계 구축도 지원한다.

◇“자동차 안전운행 책임진다” 2015년까지 누적 리콜건수 2309건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자동차(부품) 및 건설기계가 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않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있을 때 제작결함조사를 시행한다.

연구원은 지난 2003년부터 2015년까지 2309건의 리콜을 진행했고, 2015년에는 무려 503건의 리콜을 잡아냈다.

자동차 전체 리콜 대수는 누적 700만9635대이며 2004년, 2013년, 2015년에는 100만대 이상의 안전결함이 있는 자동차를 리콜시켜 국민의 안전을 지킨다.

자동차안전연구원 관계자는 “자동차리콜센터, 교통안전공단 58개 자동차검사소 등을 통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차량의 결함을 신고받고 안전 결함을 조사한다”며 “국토교통부가 내리는 제작사 리콜의 조사 분석 및 연구 업무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스팅어’, ‘G4 렉스턴’도 주행시험장 달렸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주행시험장과 10개의 실내시험동을 갖추고, 자동차의 안전성과 성능을 시험하고 평가한다.

204.6만㎡의 주행시험장은 고속주회로, 종합시험로, 직선로, 저마찰로, ITS시험로 등 14개 코스, 총 연장 28.5㎞ 시험로를 보유한다.

이달 출시를 앞둔 기아차 스팅어, G4 렉스턴 등도 주행시험장을 빌려 성능테스트, 광고촬영 등의 용도로 사용했다. 또 연구원은 신차를 대상으로 충돌시험 등을 통해 ‘올해의 안전한 차’를 발표한다. 지난해는 한국GM 말리부, 르노삼성 SM6, 기아차 K7이 선정됐다.

한편, 교통안전공단은 이날 서울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자동차의 안전과 혁신으로 미래를 바꾼다’라는 주제로 자동차안전연구원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콘퍼런스에는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 데이비드 스트릭랜드 전 NHTSA 청장이 기조연설을 했다. 미래형 자동차의 국제규정 및 정책방향, 자율주행차를 위한 도전과 혁신을 주제로 패널 토론 등도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