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재앙 산불] ④"일사분란한 진화 컨트롤 타워 수립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5-17 05: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산림청·소방·軍 개별대응이 비효율 초래…지휘체계 일원화 필요"
"산불 무조건 막는다"…동해안권 지자체 '산불 방재 시스템' 강화

(전국종합=연합뉴스) 한종구 이정훈 이승형 이재현 기자 = 동해안 지역 산림 340㏊를 잿더미로 만든 지난 6~9일 강원 강릉·삼척, 경북 상주 산불을 계기로 산불 진화 지휘권 통합 필요성이 제기된다.

3곳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은 골든타임(30분)을 놓치면서 대형 산불로 확산했다.

산림청과 지자체, 소방, 군 당국 등 여러 기관에서 따로따로 진화에 나서는 현재 지휘체계로는 대형 산불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산불 진화 헬기의 일사불란한 현장 지휘체계를 갖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 "진화 헬기 동원·지휘권 갖춘 컨트롤 타워 세워야"

산불 진화의 골든타임은 30분이다. 이 시간을 놓치면 산불 초기 진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만큼 산불 발생 초기 진화 헬기를 얼마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

2000년대 이후 대형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산불 진화에서 헬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에 달한다.

현재 전국에서 산불 진화에 동원할 수 있는 헬기는 산림청 45대, 지자체 임차 60대, 군 32대, 소방 28대, 경찰 19대, 해경 17대 등 모두 138대에 이른다.

하지만 산불 진화 주관 기관인 산림청이 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는 헬기는 45대에 불과하다.

최근 강릉과 삼척, 상주 3곳에서 동시에 발생한 산불은 산림청과 소방당국, 군이 각자의 지휘체계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화에 나서며 효율적 진화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컨트롤 타워가 없다 보니 가장 중요한 '초동 진화' 실패로 이어졌다는 게 산림 당국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로 발생했을 때 산불 진화 주력인 진화 헬기의 지휘통제 기능을 일원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행 규정상 산불 진화 통합 지휘는 피해 규모가 100㏊ 이상이면 광역자치단체가, 100㏊ 미만은 해당 자치단체가 맡는다.

지상 진화 인력도 산림청과 지자체, 소방이 따로따로 운용해 효율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

이번 3곳의 산불 진화에 공무원과 소방대원, 군인 등 3만8천여 명이 투입됐으나 잔불 진화의 결정적 역할은 산림청 산하 산불전문진화대원 1천여 명이 담당했다는 게 산림 당국의 평가다.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이시영 교수는 "산불 진화는 산림 분야 전문가들이 책임지고 진화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며 "산림청에 지자체, 군, 소방 헬기에 대한 동원 및 지휘권을 부여해 체계적 진화 작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녹색연합 서재철 사무국장은 "대형 산불은 국가 재해·재난 상황에 해당하는 만큼 진화 헬기를 총동원해 집중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산불을 계기로 진화 헬기 동원과 지휘를 강제할 수 있는 단일 지휘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 "산불 무조건 막는다"…동해안권 지자체 방재 시스템 강화

전국 지자체도 해마다 되풀이되는 대형 산불을 막기 위해 산불 방재 시스템 강화에 나섰다.

역대 대형 산불은 대부분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에 강원, 경북 등 동해안권 지자체는 동시다발 산불에 대비해 초대형 산불 진화 헬기의 집중 배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초대형 산불 진화 헬기는 8천ℓ의 담수 용량을 지닌 기종으로, 전국에 3대 뿐이다.

현재 산림청은 초대형 헬기 3대를 비롯해 대형 헬기(3천ℓ 담수용량) 30대, 중소형(1천ℓ 이하) 헬기 12대를 보유 중이다.

올해 8천ℓ 담수용량과 야간 진화가 가능한 초대형 헬기 1대, 2천ℓ 담수용량을 지닌 중대형 헬기 1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오는 2025년까지는 산불 진화 헬기를 기존 45대에서 60대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산림청과 강원도는 강릉·삼척·상주 대형 산불을 교훈 삼아 '동해안 산불 방지센터'의 추가 신설을 검토 중이다.

현재 '동해안 산불 방지 협의회'가 운영되고 있지만, 법적 근거와 임무 및 역할이 없어 상징적 기구에 불과하다.

또 동해안 지역은 봄이 되면 양양과 고성 간성, 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강한 바람까지 불어 '양간지풍(襄杆之風)' 또는 '양강지풍(襄江之風)'이라는 특이한 기상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산불 헬기 진화센터' 설립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산불 예방 핵심 시스템인 산불 감시용 CCTV 설치의 국비 지원 확대도 건의하기로 했다.

산불 예방은 물론 산불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초동 진화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민간 헬기 임차 비용을 전액 국비로 지원해 달라고 요구 중이다.

현재 전국 대부분 지자체는 인접한 2∼3개 시·군이 권역별로 1대의 임차 헬기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8억원에 달하는 임차 비용 탓에 소형 헬기를 배치하다 보니 산불 초동 진화에는 한계가 있다.

◇ "산불 진화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산림 당국 대책 부심

산불 진화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전 예방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산림청은 지역별 산불 발생 위험도를 실시간 분석하는 '산불 위험 예보 시스템'을 운용 중이다.

그러나 기상청 기상 특보처럼 일반 국민 등에게 폭넓게 전파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전국 산불 원인의 60∼70% 가량이 입산자 실화나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인 점을 고려할 때 봄·가을 산불 조심 기간에는 산불위험 예보 시스템 전파를 확대해 경각심을 일깨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경남도는 소각으로 인한 산불을 최소화하고자 소각 산불 없는 녹색마을 캠페인을 추진한다.

현재 4천여개 마을을 녹색마을로 지정해 쓰레기나 논·밭두렁을 태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 드론 등 무인 감시 카메라를 활용한 불법 소각 행위와 통제 구역 입산 등의 감시·단속 활동도 강화할 방침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이병두 박사는 "숲 가꾸기를 통해 산불이 나 확산할 수 있는 원인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이라며 "숲을 어떻게 가꾸느냐의 근원적 문제가 산불을 막을 수도, 산불 재앙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jlee@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