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차세대 공공안전통신 원천기술 연구 사업 선정

  • 2020년까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사업비 27억원 지원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하대(총장‧최순자)는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지원하는 2017년도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화사업 신규 과제로 ‘차세대 공공안전통신 원천기술 연구’ 부문에 장경희 인하대 전자공학과 교수(사진)가 총괄 책임을 맡은 연구팀이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장경희 인하대 전자공학과 교수[사진=인하대]


장 교수는 김덕경 인하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를 비롯해 서강대와 한양대, 한국네트워크연구조합, KT, SK텔레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다. 지원금은 2020년까지 4년 간 27억원이다.

공공안전통신망은 경찰이나 소방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재난안전통신망과 철도통신망, 해상통신망을 통칭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민안전처,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은 각각의 망에 PS-LTE(Public Safety Long Term Evolution) 기반 기술을 적용해 재난안전통신망, 철도통합무선망(LTE-Railway),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으로의 활용을 목표로 구축 및 운용을 진행 중이다.

장 교수 등은 각종 재난을 비롯한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되는 공공안전통신망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게 된다.

국가재난 발생 등 긴급한 상황 발생 시, 재난안전통신망, 철도통합무선망,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상용망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보다 효율적인 통신망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과 이의 기술적 진화에 대한 차세대 공공안전통신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한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국내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 교수는 “공공안전통신망은 예산상 어려움으로 노후화한데다 음성 지원만 되거나 재난 관련 기관마다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등의 한계가 있다.

재난 발생 시 입체적인 대응을 하기 힘든 구조다”며 “상용망 뿐만 아니라 3개 공공 망 간의 협력을 통한 새로운 공공통신망 구축은 국가 재난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장 교수는 공공안전통신망 포럼 전문가협의회장으로 활동하며 비용 효율적인 커버리지 확보 기술의 타당성 검토를 진행해왔다.

또 철도망, 해상망 등 각 통신망의 안정된 기술과 긴급서비스의 통신품질 향상을 위한 해결 방안을 연구 하고 있다. 공공 망 간 간섭을 줄이고 서비스 제공 범위 확보를 위한 우선권기반 자원관리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기도 했다.

장 교수가 지도하는 전자공학과 이동통신연구실은 활발한 연구 활동을 벌여, 저서 3권과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저널 논문 51편, 국내 저널 논문 101편, 국내‧외 학술회의 224편을 발표했다. 국제, 특허협력조약 특허 30여 건과 국내 특허 90여 건 등도 보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